반응형

영등포 로스터리 카페 필그림 커피 로스터스입니다.

많은 분들이 영등포역 카페는 타임스퀘어나 그 근방으로 

커피 한잔의 장소로 이용하지만

이곳 필그림 커피 로스터스는

영등포 타임스퀘어의 반대방향인

영등포역 2,4번출구에서 5분 정도 도보로 찾아 볼 수 있는

조용하고 한적한 로스터리 카페였습니다.

카페 입구에서 촬영한 사진.

로스팅 카페 답게 원두의 드립백이 테이블 위에 놓여 있었고

각 판매되고 있는 원두의 샘플이 있어 향을 맡을 수 있도록 놓여 있엇습니다.

정면에 보이는 곳.

좌측에는 라마르조꼬 사의 에스프레소 머신과 원두별로 사용되는듯한 

그라인더 두개.

그리고 오븐과 냉장고등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곳의 가장 특징 중에 하나인

하얀 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브루잉 바.

 

에스프레소 베이스는  검정색으로.

브루잉 바는 하얀색으로 서로 포인트를 달리 하여

카페의 인테리어적 멋짐을 더 하였습니다.

카페는 하얀색, 검은색을 기본 베이스로

깔끔하고 차분한 느낌을 주는 실내의 분위기였습니다.

필터 커피.(드립커피)

브루잉 바에서 

필그림 커피의 레시피로 만들어 지고 있는 필터 커피.

 

 

바리스타님의 드립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담아 보았습니다.

창으로 들어 오는 햇살을

머금고 있는 하얀색 무광의 브루잉 바가

정말 인상적이였습니다.

 

드립커피 (필터커피)를 판매하고 있는 곳에선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말코닉의 ek43 시리즈.

 

영등포 로스터리 카페

필그름 커피 로스터스에서도 역시 

말코닉 ek43은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는 도자기로 만들어진 하리오 v60으로

추출되어 지고 있었습니다.

 

따스한 햇살이 내려 오는

창가자리.

뷰가 정말 좋진 않지만

조용한 동네에 광합성을 하며 

커피 한잔에 멍때리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로스터리 실 앞에 걸려 있는 앞치마.

 

필그림 커피 로스터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커피 원두들과 드립백.

 

코로나 19로 인해 집에서 커피를 마시는 분들이 많아졌다 합니다.

그래서 홈 카페 관련 용품이나 원두들의 매출 역시 많이 올랐다고...

 

직접 집에 내려 마시는 분들이야 

패키지에 의미를 두는 분들이 많진 않겠지만

선물용으로 원두, 혹은 드립백을 선택할때에

패키지 디자인은 빠질 수 없는 요소 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합니다.

 

원두의 패키지도, 드립백의 패키지도.

차가운 도시 느낌으로 썩 괜찮은 디자인이라 생각했습니다.

 

카페의 우측에는 생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리 룸이

큰 창을 통하여 볼 수 있었습니다.

영등포 카페 필그림 로스터스의 메뉴판

커피는 좌측에 보이는대로

블랜딩된 원두나 싱글 오리진 중에 고를 수 있었고

에스프레소, 롱블랙, 아메리카노 기준으로 

블랜딩된 원두는 4,000원 // 싱글 오리진의 경우 4,500원

라떼는 위의 가격에서 500원씩추가 되는 정도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는 두가지의 원두를 고를 수 있었고

바리스타님에서 취향을 이야기 하면

거기에 맞는 원두를 추천해주기도 합니다.

필터 커피의 종류가 두가지로 

조금 선택의 폭이 좁지 않나 싶었습니다.

서비스로 주셨던 휘낭시에.

서비스는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ㅎㅎ

 

에스프레소.

롱블랙.

https://www.pilgrimcoffee.co.kr/

반응형
반응형

남영역 카페, 효창공원역 카페,

용산에 위치한 로스터리 카페, 에스프레소 바 바마셀입니다.

 

용산 방면으로 카페투어를 하신다면 

꼭빠지지 않고 들리는 

작은 에스프레소 바로 다른 카페들의 바리스타님들도

추천하는 곳이라 찾아갔던 카페였습니다.

 

은색의 긴 연통.

사진에 담기진않았지만

이곳은 작은 규모임에도 직접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리 카페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카페의 규모는 정말 작았습니다.

앉아서 마실 수 있는 좁은 테이블과 의자들.

그리고 서서 간단히 에스프레소를 마실 수 있는 바 정도가 있었습니다.

 

정말 해외에서 에스프레소 바와 비슷한 느낌을 가진

용산에 위치한 작은 에스프레소 바였습니다.

벽면 한편을 차지하고 있는 바리스타님의 인증서, 대회에서 받은 트로피등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그리인더와 에스프레서 머신.

 

제가 마신 베이스가 된 에스프레소는 매립형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만들어 지고 있었습니다.

아포가토

트리콜로레

 

에스프레소 바 혹은 작은 브루잉 카페가 

유행처럼 골목길 구석에 작은 규모로 생기는 추세가 아닐까 합니다.

 

그 중 에스프레소바로 가장 유명한 곳은 리사르 커피, 오우야, 그리고 마바셀이 아닐까 합니다.

그냥 에스프레소만 마시기에는 4,000원이라는 각여 리사르 커피나 오우야 보단 비싸지만

그 외에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한 음료들은 4,500원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곳 용산 카페 바마셀에서 직접 로스팅된 원두와 곁들여진 디저트 같은 음료를 같이 마시니

4,500원이라는 금액은 그리 크게 다가오진 않았습니다.

카페의 입구에는 바마셀 카페의 캐릭터가 있었고 다녀가신 분들은

꼭 한장씩 사진 촬영을 하곤 해서 저도 한장 남겨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용산역 카페, 삼각지역 카페

후스 커피입니다.

 

용산구에 위치한 후스 커피의

에스프레소 머신과 그라인더등의 커피관련 기구들.

 

후스 커피의 실내 모습.

카페 후스 커피는 4명정도 앉을 수 있는 바 자리가 있고

뒤에 나무로된 벤츠가 있습니다.

 

 

규모면에서는 참 작은 곳이였습니다.

필터커피(드립커피)를 만들고 있는 바리스타님.

이곳 후스 커피의 드립서버는 하리오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고

그라인더는 윌파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커피가 만들어지는 시간.

 

배를 채울 수 있을 정도는 아니지만

커피와 잘 어울리는 디저트들.

용산 카페 후스커피.

이곳의 메뉴는 정말 심플했습니다.

 

크림이 들어가거나 달큰한 커피 메뉴는 배제하고

커피의 본연에 맛을 잘 표현되는 메뉴만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만큼 커피나 그것의 원재료인 원두에 대해 진심이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따뜻한 드립커피(필터커피)

바리스타님이 주신 서비스 초콜렛은 찬조 출연.

 

영롱한 색이 참 예쁘게 나왔던

아이스 필터 커피(드립커피)

 

용산 카페투어를 하다가 찾은 후스 커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합정 카페, 망원동 카페

55라이트 (오오라이트)에 다녀왔습니다.

 

55라이트의 카페 위치는

한강근처로 합정역 카페라고 하기도

망원역 카페라고 하기도 조금은 애매한 위치에 

장소해 있지만 굳이 위치상의 장점이라고 말하자면

시끌 벅적한 마포에서 조금 떨어져 있어 

한적한 곳에서 마시는 커피 한잔이지 않을까 합니다.

카페의 실내.

옛 1층 상가 외형의 변화는 최대로 

바닥에는 카페트가 깔려 있었고

의자와 테이블은 55라이트 카페의 사장님 취향에 맞는걸로

간격 넓게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편안함을 주는 의자와 테이블로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작업하기엔 낮고 작은 테이블.

 

오랜기간 머물며 쉬기 보다

망원동을 산책하다

혹은 합정동을 산책하다 잠시 커피 한잔을 마시며 쉬어가는 

공간으로써의 역활인듯 했습니다.

55라이트 (오오라이트)의 재미있는 적립 시스템.

명함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을 검은색 펀칭 머신에 꾹 눌르면 작은 구멍이 생깁니다.

그리고 왼편의 케이스 안에 암,수로 있는 작은 링을 서로 맞추는걸로

커피 한잔당 하나씩의 링을 구멍 뚫어 한개씩 맞추면 되고

여느 까페와 같이 10개의 링을 모으면 한잔이 무료인.

이곳만의 독특한, 그리고 기념이 될만한 적립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디저트로는 쿠키가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가격은 2조각에 3,500원.

 

요즘 카페들은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그라인더들도

카페의 분위기에 맞춰 색을 정하곤 하는데

이곳 합정, 망원 카페 55라이트의 경우

에스프레소 머신도, 말코닉ek43 시리즈의 그라인더도

하얀색 감성을 살려 배치해 있었습니다.

 

필터커피(드립커피)가 메뉴에 있다면

왠만해선 빠지지 않는 말코닉 ek43 시리즈의 그라인더.

 

필터커피(드립커피)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들 하여

많은 바리스타님들이 선호한다고 하네요.

주문하고 커피를 제조하는 바 자리.

좌측은 에스프레소 머신이

우측은 브루잉을 위한 곳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드립포트는 하리오 v60 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카페 55라이트(오오라이트)의 메뉴판.

에스프레소로 사용되는 원두는 챔프커피에서 사용되는걸 

납품받아 만들어지고 필터 커피 (드립커피)는 라카브라에서 사용되는걸

납품받는듯했습니다.

 

필터커피는 원두에 상이하여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었고

코스타리카 기준6,000원로 시작되는 가격대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베이스는 에스프레소가 3,500원

아메리카노가 5,000원

그 외 별표가 표시되어 있는 시그니쳐 메뉴들은 5,500원~

부터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요즘은 바에 앉아 마시는걸 좋아하게되어

커피가 내려지는 모습도 보고

카페가 바쁘지 않으면 바리스타님들과도 

이런저런 커피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도 하는 편입니다.

 

필터 커피, 라떼, 그리고 에스프레소.

 

합정역 카페,

망원역 카페,

역 근처에도 카페들이 정말 많지만

많은 사람들을 피해 걷다가 발견한

카페 55라이트에서 커피 한잔 보았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