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용산역 카페, 용산역 카페

로스터리 카페 더 체임버입니다.

 

이곳은 과거 더 체임버 594라는 카페가

리뉴얼 하여 통유리로 햇살이 가득 들어 오는 실내 공간으로

바뀐 더 체임버 카페입니다.

 

카페의 한쪽은 로스터기가 하얀 카페와 상반되는

무광 검정과 금색 포인트로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로스터실도 모두 통 유리로되어 있어

시간 맞춰 간다면 로스팅하는 모습도 볼 수 있지 않을까 했습니다.

카페 입구 근처에 있는 브루잉 시스템.

드립커피 (필터커피)의 경우 바리스타 분들이 정성 스럽게 

커피를 내리는게 보통이지만

이곳은 자동 브루잉 시스템으로

드립커피를 제조 하고 있었습니다.

 

편차 없는 맛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지만

각각의 바리스타분들 만의 드립방식으로 개성있는 

맛을 못낸다는게 단점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괜히 정 없어 보이기도 하고.. 

 

물론 바리스타의 능력, 혹은 컨디션에 따라 

변한느 맛은 사람으로써의 한계이기도 하겠지만요.

신용산역 카페 더 체임버의 카페 가운데 공간은

커피 용품과 원두들이 판매되는 테이블이 있었습니다.

핸드 그라인더.

정동 그라인더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지만

역시나 시간과 함께 육체적 노동이 가장 단점인 제품이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브루잉 시스템.

드립커피를 만들기 전 린싱을 하는 모습.

 

바 쪽은 브루잉 시스템이 주가 이뤄져 있고

안쪽에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그라인더등 커피 용품들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벤트 안내표시와

더 로스팅 체임버는 커피챕스의 공식 개발 파트너사 및 

촐광 판매사를 알리고 있는 문구가 보였습니다.

이 곳만의 간편 커피 시스템.

집에서 가장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건 믹스 커피와 드립백이 아닐까 싶은데

이곳은 티백처럼 포장이된 커피를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정말 간편하게 티백에서 차를 우리듯이 커피를 우려 내기만 하면 끝!

맛은 드립백과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신용산역, 용산역 근방에 카페들이 하나둘 생겨 나고 있어서 찾아 가봤던

로스터리 카페 더 체임버였습니다.

 

용산의 카페 투어로 가신다면

트래버틴, 폰트커피, 더 체임버등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