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천구 카페, 금천구청역 카페,

로스터리 카페 사훈입니다.

 

조용한 골목길 한켠에

바 자리 밖에 없는 작은 카페였고

카페는 전체적으로 나무로 인테리어되어 있었습니다.

어두운 갈색에 따뜻한 조명으로 

포근한 느낌을 주는 작은 카페였습니다.

 

잘 정리되어 있는 브루잉툴.

 

필터 커피 (드립커피)를 직접 볶은 원두로

내려주는 곳으로 따로 에스프레소 머신이 있지는 않는 곳이였습니다.

카페 안쪽 자리에 작은 로스팅 룸.

에스프레소 머신은 과감히 빼고

로스터기를 들여 놓아 직접 볶은 신선한 원두로 만든

필터 커피 (드립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곳이였습니다.

카페의 메뉴판과 원두, 드립백, 더치 커피등이 같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드립커피)의 가격대는 5,000원과 5,500원으로

블랜딩된 원두에 따른 가격차가 있었고

그 외에 음료들은 5,500원대부터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드립백 역시

원두의 블랜딩된 조율에 따라 

두가지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어떤 원두를 어느 정도 블랜딩되었는지

질문을 해보았지만 기업 비밀이라는.. 조금 독특한 답변을 받았습니다.

 

여지껏 블랜딩된 원두에 어떤 원두가 

들어 있는지 비밀인 곳은 처음이였던지라..

조금 당황스럽기도 했습니다.

커피를 내리시는 바리스타님.

 

필터커피 (드립커피)에 물을 따르기 전

레벨링을 하신 후 와인 마게로 가운데 부분을 살짝 눌러주는 

사전 작업을 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엿습니다.

 

이곳 분위기와 잘 맞는

커피잔과 커피.

 

바리스타님과 이런 저런 이야기 중에

서비스로 주셨던 더치 커피.

 

시원한 더치 커피가 정말 맛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덕역 카페, 마포 카페.

카페 그로토 다녀왔습니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카페 그로토는 공덕역의 한적한 골목길,

지하에 위치한 조용한 카페였습니다.

계단을 따라 내려오면 볼 수 있는 카페의 전경.

개인적인 카페 내부에 들어왔을때에

 조용한 제주도의 동네 카페정도의 느낌을 받았습니다.

 

주황빛, 붉은톤의 카페의 내부와

돌로 인테리어의 포인트를 잡은게 인상적인 공간이였습니다.

 

 

카페 사장님이 드립하는 모습.

 

필터 커피가 만들어 지는 중.

 

이곳 역시 필터커피 (드립커피)에 사용되는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 시리즈로 커피를 그라인딩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라인더 옆 잘 정리되어 있는 원두들.

커피 관련 용품들은 하얀색 톤으로 맞춰

깔끔한 느낌으로써 커피가 만들어짐과 더불어

인테리어적 요소도 잘 갖추고 있었습니다.

드립백을 구매하니

주셨던 종이 봉투.

제가 방문했을 시에 판매되고 있던

9가지의 원두 종류들.

필터 커피 (드립커피)와 더불어 원두와 드립백도

함께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간단히 커피와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

카페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기준 4,000원/ 아메리카노는 4,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였고

필터 커피는 6,000원대로 시작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아메리카노 기준에서는 조금 비싼.

필터커피 (드립커피)는 여느 카페와 비슷한 수준으로

형성된 가격대였습니다.

 

이곳 카페에서 필터커피 (드립커피)를 마실때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인

우측 아래에 보이는 컵이 아닐까 합니다.

가운데 동그란 구체가 있는 매우 독특한 컵으로

이 컵과 함께 커피를 마시러 오시는 분들도 꽤 있는듯했습니다.

 

 

단순 향과 맛뿐만이 아닌

컵으로써 하나의 포인트로 눈까지 즐겁게 해줬던 카페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마포구청역 카페, 성산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칼라스 커피입니다.

 

지하철 교통편으로는 어디 하나 가까운 곳이 없는

마포구청역과 홍대, 연남동 경의선 숲길의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근처 거주하시는 분이 아니라면

일부러 커피를 위해 찾아가야 하는,

조금 거리가 있는 카페였습니다.

 

카페에 들어서면 눈 높이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각종 트로피들.

예쁘게 패키징된 원두들.

원두의 봉투 자체는 흔하디 흔한

갈색의 원두를 담을 수 있는 봉투지만

원두의 특징을 알아 볼 수 있게

적어 놓은 커핑 노트와 3줄 포인트 스티커는 디자인적으로 

꽤나 마음에 들었습니다.

하얀색으로 색깔을 맞춘 그라인더들.

커피에 진심인 이 곳 로스터리 칼라스커피는

원두에 맞게, 혹은 추출 방식에 맞게 조절되어 있는

4가지의 그라인더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제가 방문했을때는

싱글 오리진 원두 2가지와 

블랜딩된 원두 2가지를 

필터 커피 (드립커피)로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드립하는 모습을 짧게 영상에 담아 보았습니다.

드립하는 곳 앞에 있는 검정 유리병은

마치 화장품을 담는 용기처럼 생겼지만

원두들을 미리 일정한 용량으로 소분하여 빠르게 그라인딩 할 수 있게

담아둔 것이였습니다.

 

카페 규모의 반을 차지하고 있는

로스팅 룸.

대형 로스터들이 바쁘게 돌아 가고 있었습니다.

 

성산동 로스터리 카페 칼라스 커피의 메뉴판.

 

모든 메뉴가 4,000원.

에스프레소 베이스도,

필터 커피도 동일한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엇습니다.

 

에스프레소가 4,000원의 가격이라면

뭐 그냥 저냥 혹은 조금 비싸다 느낄 수도 있지만

그 외에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삼아 

취향에 맞춰 첨가되는 음료들도 4,000원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드립커피) 역시 원두에 따라 달리지는 가격이 아니라

동일하게 4,000원.

 

가격적인 부분을 바리스타님께 여쭈어 보니

메뉴판 앞에서 500원, 1,000원으로

고민하는 손님들이 안타까워서

모든 메뉴를 4,000원으로 통일하였다고 들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필터 커피의 원두 같은 경우 

바뀔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따뜻한, 그리고 차가운.

원두의 종류, 음료의 온도.

 

브루잉 바 자리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있던 중

바리스타님이 맛에 대해 체크를 해주셨고

샘플로 들여 오신 원두도 서비스로 한잔 내려주시기도 했습니다.

 

필터 커피 (드립커피)를 하는 곳을 집중적으로 

카페투어를 하고 있고 바쁘지 않는 경우

바리스타님과의 대화도 종종 하는 편입니다.

 

커피에 대한 궁금증, 홈 카페를 할때의 원두나 장비들에 대한

궁금한 점도 물어 볼 수 있어

테이블이 놓여 있는 곳 보단 가급적 브루잉 바, 혹은 에스프레소 바가 있는

자리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이 날도 역시 브루잉 바에 앉아 바리스타님과의 

유익한 대화를 할 수 있어 좋았던 시간이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연남동 카페, 홍대 카페

연남동 로스터리 카페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입니다.

 

홍대입구역에서 연남동, 경의선 숲 길 근처에 있어

지하철역과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여

많이 걷지 않아 좋았던 카페였습니다.

 

카페의 앞엔 야외 테이블도 있어 

햇볕 좋은 날에는

카페 앞에 앉아 광합성하며 커피 한잔하기 

좋은 곳인듯했습니다.

카페의 내부.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를 사용했고

필터커피(드립커피)를 만드는 곳에선 필수요소로 자리 잡은

말코닉 ek43 시리즈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연남동 로스터리 카페 답게

직접 생두를 로스팅하여 원두를 카페에서 사용하거나 

홈카페 하시는 분들에게 판매도 하였고

각 원두들의 향을 맡을 수 있게 책장에 분쇄된 원두가

놓여 있었습니다.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의 브루잉 바.

 

디저트로는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맛의 파운드 케이크.

(4,300원)

집에서 다른 도구 없이 간편하게 마실 수 있는 드립백.

 원두의 양은 10g이 들어 있고

브라질과 콜롬비아 원두가 블랜딩되어 있었습니다.

(1,000원)

드립백의 종류가 한가지만 판매되고 있는건 

조금 아쉬웠습니다.

 

1층은 주문과 커피가 제조되는 공간으로 따로 자리는 없어

2층으로 올라가보았습니다.

연남동의 거리를 바라 볼 수 있는 창가 자리.

테이블 보다는 바의 형식으로

밖을 보며 멍때리기 좋아하시는 분들을 위한 자리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의

2층의 전체적인 모습.

 

안쪽에 위치한 쇼파 자리들이 인기가 많아

빨리 차곤 했습니다.

2층의 가장 구석에는

커피 콩이 볶아 지는 곳.

로스팅실이 커다란 통유리 안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로스팅 하시는 시간대에 간다면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의 로스팅하는 모습도 

눈으로 볼 수 있을듯했습니다.

카페 메뉴판.

연남동 로스터리 카페,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의 가격대는

에스프레소 베이스로 하는 음료는 5,000원대로 시작되었고

핸드 드립(필터커피)의 경우 5,500원에, 

논 커피는 6,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끼는 가격대로는

에스프레소 베이스로된 커피는 비싼감이 있었고

핸드드립 (필터커피)의 경우는 저렴, 혹은 적당, 정도의 생각이 드는 

가격대였습니다.

 

테이트 아웃 (테이트 어웨이).

포장하여 가지고 간다면 데일리 블랙 커피(오늘의 커피)의 경우

2,000원대로 정말 저렴하게 리폴로우의 커피를 마실 수 있으니

테이크 아웃 후  연남동 경의선 숲길에 앉아 마시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번에 다녀왔던 연남동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는

커피를 마시러 갔다기 보단

원두를 구매하러 다녀왔던 카페였습니다.

 

[에티오피아 구지 겔라냐 게이샤 G1 무산소 워시드]

요즘 빠져 있는 에티오피아의 원두들을

종류별로 맛보고 있는 중에 찾았던 

커피 리플로우 로스터스의 에티오피아 원두였습니다.

 

 

홈 카페를 이용하고 이곳 카페의 원두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검색창에 리플로우 커피를 검색하면

리플로우 커피 로스터스의 공식 홈페이지나

각종 오픈 마켓에서 구매할 수 있으니

가격 비교를 하여 유리한 곳에서 구매하시면 좋을듯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