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합정역 카페, 망원동 카페,

서교동 카페 지쿠커피입니다.

지쿠 커피의 실내 모습.

합정역과 망원역 사이.

애매한 위치에 있어 역세권 카페로 많은 유동인구들이 이용하는 카페라기보단

서교동에 위치한 작은 동네 카페였습니다.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는 커피 관련 용품들.

필터 커피 (핸드드립 커피)에 많이 이용하는 

말코닉의 ek43도 있었지만

메뉴에는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가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그냥 작은 동네 카페인줄 알았지만

로스팅도 직접하는 로스터리 카페였습니다.

 로스터기는 스트롱홀드 S7 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메뉴판.

에스프레소는 2,000원 / 아메리카노는 3,000원 으로 시작되는 가격대였고

이곳에는 샌드위치도 인기 메뉴인지 

많은 분들이 구매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마끼야또 (2,800원)

반응형
반응형

종로 카페, 경복궁역 카페

커피 투어 광화문점 입니다.

 

카페 커피 투어의 경우 종로 경복궁역과 광화문에 

3곳에 매장이 지도에 표시되었습니다.

 

그 중 커피 투어 광화문점은

로스터리 카페로써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카페 커피 투어 광화문점의 입구 아래쪽에는

오랜 기간동은 블루리본의 스티커를 받은걸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만들어 지는 곳.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에스프레소 머신은 시네소 사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들이 판매되고 있었고

콜드 브루도 병으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싱글 오리진이나 블랜딩된 원두들을

직접 향을 맡아 볼 수 있게 작은 병에 

그라인딩된 원두들이 소량으로 들어 있었습니다.

작은 냉장고에는 콜드 브루와 병음료,

디저트들이 판매되고 있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매장의 전경들.

테이블 간격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서인지

널널하였고 그 널널한 사이에는 생두들과 원두들의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카페의 가장 안쪽 자리에 위치한 로스팅 룸.

 

로스팅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생두들.

단순 로스터리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카페까지 같이 운영하는 곳에서 이렇게 많은 생두 포대를 본건 

처음이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한쪽 선반에는

커피 추출 종류 중에 하나인 핸드드립 (필터커피)를 위한 제품들과 

모카포트등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경복궁역 카페, 카페 커피 투어 광화문점의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부터 시작되었고

1,000원으로 리필이 가능하다는 문구가 적혀 있엇습니다.

핸드드립 (필터커피)의 경우 6,000원부터 시작되고 있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베이스의 음료를 주문하면

두가지 블랜딩된 원두 중에 선택을 하여 마실 수 있었습니다.

핸드드립 커피(필터커피)를 주문하고

커피를 내리는 바리스타님을 담아보았습니다.

드리퍼의 경우 하리오 V60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합정역 카페, 상수역 카페 ,

로스터리 카페 다스 이스트 프로밧입니다.

로스터리 카페

다시 이스트 프로밧은 색깔이 확실한 곳이였습니다.

몇가지 식기나 음식, 조명등을 제외하곤

무광 검정색으로 바리스타님들의 의상 역시

무광 검정으로 통일된 색으로 맞추셨던 곳입니다.

가구나 커피 추출 도구들, 액자까지도

무광 검정색으로 묵직한 느낌을 주는 곳이였습니다.

한쪽면이 통 유리로되어 있어 입구쪽은 자연광이 채워주고

안쪽으로 들어 올 수록 따스한 조명 빛으로 간접광이 채워지는 곳이였습니다.

물과 시럽은 셀프로..

주문하는 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굿즈들과

스티커.

로스터리 카페 답게

맛의 특색이 있는 원두들과 드립백등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를 한다하는 카페들에게선

빠지지 않는 말코닉의 EK43

무광 검정의 인테리어와 커피 맛으로도 유명하지만

이곳은 프로밧이라는 로스터기를 판매하기도 하는 곳으로

카페의 한쪽에는 용량별 로스터기가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이 로스터기는 일정 비용을 지불하면 사용할 수 있는 

로스터기들이였습니다.

합정 카페, 상수카페

로스터리 카페 다스 이스트 프로밧의 메뉴판.

왼쪽과 가운데는 원산지별 생두 가격, 로스터기 사용 비용이 

적혀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는 4,000원으로 시작되었고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의 경우 7,000원대부터 시작되는 가격 구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커피의 경우 두가지 중 취향에 맞게

블랜딩된 원두를 고를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합정 카페, 상수 카페,

자메뷰 커피 브루어스입니다.

 

반지하에 위치한 카페 자메뷰 커피 브루어스의 전체적인 모습.

묵직하고 차분한 느낌의 카페로

Bar의 분위기가 잘 살아 있는 곳이였습니다.

주문하는 곳.

에스프레소 베이스로된 메뉴의 경우

블랜딩된 원두의 종류를 고를 수 있었습니다.

찻잔에만 조명이 내려 앉아 분위기가 정말 좋았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 e61을 사용하고 있었고

그라인더는 에스프레소용 따로 필터커피 (드립커피)용 따로

두가지 종류의 그라인더가 놓여 있었습니다.

 

브루잉 바 한쪽에는

펠로우 오드 그라인더도 놓여있었습니다.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의 경우 

원두에 따라 각기 다른 그라인더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분위기 있게 잘 정리된 책장.

이곳에는 카페 관련된 책과 원두와 굿즈, 

그리고 커피 추출도구 등이 놓여 있었습니다.

 

원두의 경우 원두의 종류에 따라 용량에따라

판매 가격이 다르니 혹 원두를 구매하신다면

바리스타님께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을거 같습니다.

합정카페, 상수카페.

자메뷰 커피 브루어스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의 가격은 4,000원대로

필터 커피 (핸드 드립커피)의 경우 6,000원대부터 원두에따라

그 이상의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그 외에 티 종류도 티백에 우려만 내는게 아니라

이곳 카페만의 블랜딩된 티로써

상당히 매력있는 음료도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처음 메뉴를 주문하면 에피타이저로써

보이차를 한잔 입가심으로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 (핸드 드립 커피) 추출.

커피가 다 추출되고 서빙 받을때 주문한 원두에 대한

커피 노트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브라질 원두의 커피.

 

개인적인 브라질 원두는 저렴한 가격대에 형성되어 있는

무난한 커피라고 생각했지만

이곳에서 마셨던 브라질 원두의 필터 커피는 정말 달랐습니다.

과일향의 커피를 좋아하신다면 추.천.

 

같이 주문한 라떼.

주문했던 필터 커피와 라떼를 마시고 나니

서비스로 한잔씩, 한잔씩 커피를 내려주셨습니다.

그리고 에스프레소도 한잔.

 

 중간 중간에 이곳 자메뷰 커피브루어스에서 로스팅한 원두라던지

다른 카페에서 구매해온 원두라던지..

이런 저런 커피를 참 많이 만들어 주셨습니다.

 

다양한 원두의 각기 다른 맛을 느껴보고 싶으시다면 

추천드리는 곳입니다.

다만, 이곳 카페에 들리시기 전에는 미리 카페인 음료를 

마시지 않고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워낙 서비스 음료를 잘 주셔서 하루 카페인 양은 이곳에서 다 채울 수 있을듯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