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대 카페, 이화여대 카페,

포크 라이언입니다.

 

이화여대 앞의 상권이 많이 무너진 상태에서 

창업이라니.. 의아스러웠지만

커피를 좋아하시는 분들의 입소문이 있어

방문해보았습니다.

커피 그라인더와 에스프레소 머신.

장비면에서는 여느 카페에 밀리지 않는 수준으로 

구비되어 있었습니다.

 

이대 카페 포크 라이언은

에스프레소 베이스의 음료들 뿐만 아니라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도 

맛볼 수 있는 곳이였습니다.

그렇다면 빠질 수 없는 그라인더.

말코닉의 EK43도 카페 가운데에 웅장하게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는 아니지만

카페 포크 라이언은 원두 역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블랜딩된 원두와 싱글 오리진 원두.

 

바의 한쪽 자리에 위치한

브루잉 관련 추출 도구들.

지하철 이대입구역, 이화여대 정문 사이의 도로변에 위치한

포크 라이언은 넓은 규모의 카페는 아니였습니다.

자리 또한 편해서 오랜 시간 시간을 보내기 보단

잠깐의 여유를 부리며 맛있는 커피를 

즐기는 곳이 아닐까 했습니다.

포크 라이언의 메뉴판.

블랙 (아메리카노) 4,500원

화이트 (라떼) 5,000원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7,000원대로

저렴하다고는 할 수 없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포크 라이언이라는 인상을 깊게 새겨주는

독특한 민화.

 

그리고 아이스 아메리카노.

 

반응형
반응형

홍대 카페, 서교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소림커피 입니다.

소림 커피의 전체적인 자리의 모습.

소림 커피는 로스터리 카페 치고는 정말 작은 곳입니다.

작은 규모의 장소에 로스터리룸까지 있다보니

앉아서 마실 수 있는 자리는 좁은 편이였습니다.

 

좁은 공간으로 인해 정면이 아닌

측면으로 찍어야 커피가 만들어지고 주문을 받는 곳을

한 화면에 담을 수 있었습니다.

 

녹색과 주황색이 어우러져있는 종이컵.

물론 일회용품을 줄여야 하긴 하지만

시국이 시국인지라 포장 주문뿐만 아니라

실내 취식에도 종이 컵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한쪽 끝부분에는 원두별, 그리고 용도별로 나눠져 있는

그라인더들.

4가지의 각기 다른 그라인더와 에스프레소 머신이

작은 카페와는 다르게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간단히 배채울 수 있는 빵들도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매장의 입구에는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로스팅된 신선한 원두들이 홀빈으로.

혹은 드립백으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안쪽의 콜드 브루를 위한 냉장고와

생두를 볶기 위한 장소인 로스팅룸.

홍대카페, 서교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소림 커피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3,000원대로 시작하는 홍대카페 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였습니다.

이곳의 특색있는 커피인 메뉴도 4,500원대로 

비싸지 않는 각겨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헤이즐럿 마끼야또 위드 밀크크림

코코넛 크림커피

반응형
반응형

홍대 카페, 동교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디저브입니다.

 

공항철도 홍대입구역 7번 출구 근처라

연남동 경의선 숲길을 산책하다 와서

커피 한잔의 여유를 부리기도 좋아보였던 위치였습니다.

홍대 카페, 로스터리 카페 디저브를

얼핏 봤을때는 반지하에 위치한 작은 카페로 보이지만

반지하층과 윗층, 두개의 층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였습니다.

 

반지하라 해도 햇살이 잘들어 오는 곳으로

밝았고 인테리어 또한 깔끔하여 

여느 통창으로 햇살이 잘들어오는 카페 만큼

밝은 곳이였습니다.

 

주문을 받고 음료, 혹은 디저트를 구매할 수 있는 곳.

각종 커피 추출을 돕는 기구들.

하얀색과 검정색, 그리고 밝은 나무색이 잘 조화로웠던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그라인더 또한 

인테리어적 요소로 깔끔함이 포인트가 되었던 곳이였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어 먹을 수 있는

작은 디저트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블랜딩되고 로스팅된 원두를

방문하여 구매할 수도, 인터넷으로 구매할 수도 있었습니다.

다른 카페와 다르게 100g단위는 약통처럼 생긴 곳에 

포장이 되어 있어 이곳만의 패키지 포인트가 있었습니다.

바리스타님의 필터 커피 내리시는 모습.

1층은 밝고 가벼운 느낌이였다면

2층은 조금 무게감 있는 차분한 스타일의 분위기로

인테리어가 되어 있었습니다.

2층의 반 정도는 로스팅이 되는 로스터리 실과 함께

생두와 각종 커피 용품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홍대 카페, 연남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디저브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으로 4,0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였고

원두는 취향에 맞게 고를 수 있었습니다.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의 경우 6,000원대 부터 시작되는 

가격대가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를 주문하면

컵에 주문한 커피의 원두와 그에 대한 커핑노트를 손으로 적어주셨습니다.

 

이런 소소한 서비스는 손님으로써 작은 감동이 아닐까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흥역 카페, 마포역 카페,

대흥역과 마포역 사이. 마포동 용강동에 위치한 

존 스몰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동네에 간판까지 없는, 정말 아는 사람만 찾아가는

그런 조용한 로스터리 카페였습니다.

카페의 내부 모습.

창가로 둘러진 자리와 낮은 테이블.

마주 보며 앉을 수 있는 자리 역시 넉넉치 않는..

미니멀리즘을 실천한느 카페의 모습이였습니다.

대흥역 카페, 마포역 카페.

존 스몰 로스터리의

에스프레소가 베이스인 음료가 만들어 지는 장비들.

존 스몰 로스터리 카페.

카페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곳은 로스팅을 직접하고

원두 납품과 판매가 주인 그런 카페였습니다.

 

역시나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의 메뉴가 있는 곳이라면

빠질 수 없는 말코닉의 ek43 커피 그라인더.

 

핸드 드립 커피 (필터커피)를 만들고 있는 바리스타님.

 

제가 방문했던 날에는

커핑을 하는 날이였던지

각종 원두에 대한 커핑 테스트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대흥역 카페, 마포역 카페.

용강동 카페 존 스몰 로스터리의 메뉴판.

 

필터 커피.

라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