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궁동 카페, 수원 카페, 정지영 커피 로스터즈 행궁본점입니다. (유사 검색어 - 정지영 카페 로스터스)

행궁동 카페에선 가장 유명한 곳으로 수원 화성, 행궁동 쪽에만 여러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곳이였습니다.

정지영 카페로스터즈 (정지영 카페로스터스) 행궁 본점은 큰 건물을 통으로

지하 1층부터 5층 루프탑까지 모두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주문은 지하 1층에서 할 수 있다는 안내를 받고 내려 가보았습니다.

컨셉있는 편집샵같은 첫 인상을 주었습니다.

행궁동 카페, 수원 카페, 정지영 커피로스터즈 행궁 본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커피 추출 도구들.

무광 검은색으로 색을 맞춰놓았고 취향에 따라 달리 사용되고 있는 그라인더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에서 빠질 수 없는 원두 판매와 드립백.

드립백은 이곳이 수원 화성에 위치한 곳임을 알려주기 충분한 디자인의 귀여운 패키지로 되어 있었습니다.

커피와 더불어 같이 즐길 수 있는 디저트들.

지하 1층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공간이라면 지상 1층은 생두가 원두로 만들어지는 로스팅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1층의 넓은 공간에 대형 로스터기들이 웅장하게 놓여 있었습니다.

정지영 커피 로스터즈 행궁 본점의 각 층마다 빈티지한 소품들이 놓여 있어

포토스팟으로써도 괜찮게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2층의 모습.

카페는 전반적으로 큰 창을 통해 자연광이 잘 들어왔습니다.

낮시간엔 따로 조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밝은 곳으로 커피 한잔에 광합성으로 살짝 나른한 시간을 보내는 것도 나쁘지 않았습니다.

너무 강한 직사광선이 싫은 손님을 위한 블라인드도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2층의 전반적인 모습.

갈색의 나무색으로 차분한 분위기의 공간이였습니다.

3층의 경우 일반 손님을 위한 자리가 아닌

커피 수강생들을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각종 실습을 위한 머신들이 놓여 있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4층의 모습.

한쪽 벽면이 전체적으로 창으로되어 있었고

그 가운데 놓인 오디오 시스템이 인상적이였습니다.

창 맞은 편엔 긴 테이블과 의자들로 마치 회의실같은 느낌을 주는 곳이였습니다.

최소한의 자리와 최소한의 인테리어로 꾸며져 있었던 정지영 커피로스터즈의 4층의 모습.

정지영 커피로스터즈 라는 간판이 보이는 루프탑입니다.

수원 화성, 수원 행궁동의 일대를 볼 수 있는, 그리고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작업을 하거나 수다를 떨거나 하기 좋은 공간이였습니다.

왼쪽은 일반적인 테이블들이 놓여 있었고 반대편은 캠핑을 온거 같은 느낌의 의자들과 테이블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이처럼 층 마다의 인테리어 컨셉은 다 다르지만 그 곳에서도 서로 다른 가구나 소품들로 공간을 채우고 있었습니다.

행궁동 카페, 수원 루프탑 카페, 정지영 커피로스터즈 행궁 본점의 간단한 메뉴판.

아이스 아메리카노 4,500원

반응형
반응형

신림역 카페, 신림 루프탑 카페, 카페 디자이너리입니다.

디자이너리 카페는 신림역 5번 출구에서 도림천 길쪽으로 걷다 보면 영림 홈앤 리빙이라는 하얀색 건물의 4층에 위치한 곳입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으로 올라가면 볼 수 있는 예쁜 소품들.

입구 앞에서부터 카페의 이름 답게 소품들도 에쁘게 꾸며 놓아져 있었습니다.

신림역 카페, 신림 루프탑 카페, 디자이너리의 커피가 만들어지는 공간.

시모넬리와 메저를 사용하여 커피가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

주문 하는 곳에는 디저트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휘낭시에, 쿠키, 그리고 조각 케이크들.

카페는 하얀색 바탕에 깔끔하면서 포인트되는 색깔들을 잘 배치해두었습니다.

그리고 테이블 마다 생화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2인석과 4인석, 그리고 혼자 작업하기 좋은 자리등 서로 다른 테이블과 의자들이 각자의 편의에 맞게

앉아서 쉬거나 작업을 할 수 있게끔 되어 있었습니다.

신림역 카페, 루프탑 카페, 디아지너리의 가운데 부분은 바닥은 자갈로, 사진찍기 좋아보이는 의자와 함께

포토 스팟으로써 활용되는 공간도 있었습니다.

조화가 아닌 생화가 카페 곳곳에 놓여져 있어 시각적으로도 참 보기 좋았습니다.

카페에서 볼 수 있는 소품들.

판매되고 있는 엽서들도, 작은 폴라로이드의 사진들도,

그리고 독특한 모양의 거울까지, 하나하나 공간을 채우는 하나하나 누군가의 손길로 채워진 곳이 보기 좋았습니다.

도시의 모습.

디자이너리 카페는 4층과 루프탑으로 구성된 곳으로

4층의 가운데 부분은 뻥뚫려 하늘을 볼 수 있는 곳이 있었습니다.

루프탑의 모습들.

도림천 앞과 신림역쪽까지 시원하게 볼 수 있는 경관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휴양지에서 볼 수 있을법한 의자들과 썬비치들.

보라매 공원쪽으로 높이 올라와 있는 빌딩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루프탑에서 내려다 본 4층 중앙의 모습.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루프탑에서 보이는 바깥의 모습도 몇장 담아 보았습니다.

신림역 카페 디자이너리의 메뉴판.

아메리카노가 3,900원으로 시작되었고 케이크들의 가격은 6,600원 정도로 형성되어 있는 곳이였습니다.

아메리카노 3,900원.

반응형
반응형

종각역 카페, 종로 카페, 센트럼 드립입니다.

카페 센트럼 드립은 지하철 1호선 종각역 3-1번 출구로 나와 센트로 폴리스 빌딩에 위치한 카페였습니다.

입구에서 본 센트럼 드립의 실내 모습입니다.

좌우 벽쪽으로 놓인 자리들과 가운데 길게 높인 테이블로 자리들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하얀 미색의 벽을 바탕과 테이블과 의자들 역시 밝은 색으로 깔끔하고 밝은 느낌의 공간이였습니다.

한쪽 벽에는 원두에 관련된 사진들의 액자들이 걸려 있었습니다.

입구쪽 문이 업던 한쪽의 창가자리의 같은 곳을 바라 보며 살짝 동떨어진 느낌의 자리도 커플석으로 놓여져 있었습니다.

물과 시럽, 설탕등 한쪽 벽에 놓인 셀프바의 모습입니다.

종각역 카페, 종로 카페, 센트럼 드립의 음악을 담당하는 스피커.

스피커의 크기는 크진 않지만 카페 센트럼 드립의 공간을 채우기엔 충분했습니다.

직접 카운터에서 주문을 해도 되지만

바쁠때 기다리지 않고 주문할 수 있는 키오스크도 있었습니다.

타임세일, 10% 할인이 들어가는 시간대도 있었습니다.

가운데 긴 테이블에 놓여진 조명들.

마치 책장을 잘 펼쳐놓은듯한 모형의 조명이였습니다.

카페의 우측에는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하는 음료가 만들어지는 곳이였습니다.

원두에 따른 그라인더들과 에스프레소 머신등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좌측 부분에는 브루잉, 필터커피 (헨드드립 커피)를 위한 커피 추출 도구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종로 카페, 종각역 카페, 센트럼 드립에서 사용하고 있는 브루잉, 필터 커피 추출 도구들.

소분되어 판매되고 있던 원두들과 드립백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원두 별로 정리된 빈 셀러와 말코닉 ek43등도 볼 수 있었습니다.

살짝 어수선한 느낌이 드는건 제가 방문했을시 로스팅하는 시간대였고 원두를 정리 하는 중이였습니다.

가운데는 디저트들과 병음료등이 놓인 냉장고가 위치해 있었습니다.

안쪽의 공간에는 사람들 눈에 잘 띄지 않는 로스팅 실이 존재했습니다.

카페로써 갖출건 다 갖춰진 카페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이면서 에스프레소 관련 장비, 필터 커피 관련 장비들 모두 빠질게 없다 느껴졌습니다.

종각역 로스터리 카페, 센트럼 드립의 메뉴판.

아메리카노가 3,500원부터 시작되는 메뉴의 구성들이였고

논 커피의 경우 5,000원에서 왔다갔다하는 가격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3,500원

반응형
반응형

당산역 카페, 선유도역 카페, 로스터리 카페 커피 라이커스입니다.

커피 라이커스는 지하철 2호선 당산역과 9호선 선유도역 사이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의 입구쪽은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하는 커피 음료들이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기다리는 동안 커피 만드시는 바리스타님들의 손과 에스프레소 머신이 있는 쪽을 담아보았습니다.

안쪽에는 브루잉바로써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그라인더는 역시 말코닉의 ek43과 드리퍼는 하리오가 놓여 있었습니다.

당산역 카페, 선유도역 카페, 로스터리 카페 커피 라이커스에서 로스팅된 원두들과 드립백도 종류별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커피 라이커스는 1층부터 4층까지 카페로 되어 있었습니다.

1층의 경우 음료와 디저트들이 주문과 판매가 되는 공간으로 앉아서 마실 수 있는 공간은 2층부터 4층까지였습니다.

커피 라이커스의 2층 모습.

벽 한쪽이 커다란 창으로 되어 있어 햇살이 정말 잘 들어왔습니다.

하얀 바탕의 벽과 테이블들이 깔끔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입구에서 봤을때 가장 정면에서 보이는 오디오 시스템과 조명으로 빛을 내고 있었던 벽면.

밤 시간, 해가 졌을 시간대에 가면 은은한 조명에서 나오는 분위기가 더 멋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창가 자리에는 혼자서 작업하기 좋게 바로써 되어 있었고 가운데엔 긴 테이블로 단체 손님이 앉기 괜찮아 보였습니다.

빈 공간엔 무심하게 놓여진 액자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선유도역 카페, 당산역 카페, 커피 라이커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

생두 껍질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친환경 컵 허스키와

원두, 드립백등이 놓여 있었습니다.

원두마다 꼼꼼히 커핑 노트가 적혀져 있었습니다.

 

3층의 모습.

3층의 반은 로스터리를 위한 공간과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는듯 했습니다.

2층보다는 좀 더 늘어질 수 있는 쇼파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2층과는 또 다른 음악이 흘러나왔던 3층의 오디오 시스템.

3층의 우측에서 볼 수 있는 로스터리를 위한 공간이였습니다.

서로 다른 로스팅기가 놓여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옆 공간의 모습.

아마도 교육을 위한 공간, 혹은 로스팅된 원두에 대한 원두에 대한 테스트등이 이뤄지는 공간이 아닐까 했습니다.

마지막 4층으로 가는 길.

4층으로 올라가는 길에 너무나도 맑았던 하늘과 창으로 내려 오는 햇살이 정말 좋았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들었던 4층의 모습입니다.

2층과 3층은 넓은 창으로 자연광의 밝음이라면 4층의 경우 작은 창에서 들어오는 최소한의 빛과 조명이 비춰주는 차분함이

좋았던 곳이였습니다.

카페 가운데는 여느 전시장 못지 않는 느낌으로써 조명과 사진등으로 인테리어 되어 있었습니다.

4층의 오디오 시스템.

2층과 3층, 4층 모두 서로 다른 오디오가 놓여 있었고 음악 모두 각자의 분위기에 맞게 흘러나오고 있었습니다.

그 중 4층의 경우 클레식 음악 방송의 라디오 주파수가 맞춰져 있었고 라디오 dj가 틀어주는 음악이 참 좋았었습니다.

당산역 카페, 선유도역 카페, 로스터리 카페 커피 라이커스의 메뉴판.

(촬영을 못해 네이버에서 퍼옴)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가 4,100원부터 시작되었고 원두는 취향에 맞게 2가지 중에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4,100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