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로5가역 카페, 동대문 광장시장 카페, 어니언입니다.

카페 어니언은 지하철 종로 4가역, 혹은 을지로 4가역에서 광장 시장으로 가다보면 찾을 수 있는 곳입니다.

노점상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느낌으로 여타 다른 어니언 카페들과는 다른 분위기였습니다.

 

광장시장의 끝트머리에 위치한 작은 카페였지만 정말 사람들이 붐볐고 일하시는 직원분들도 네분이나 되셨습니다.

어니언에서 판매되고 있던 굿즈, 그리고 원두와 티백으로 만들어진 커피들.

광장시장 카페, 종로 5가역 카페, 어니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메뉴였던 페스츄리 피자.

조각으로는 4,000원 . 한판에 29,000원에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커피 한잔과 페스츄리 한조각으로 어니언에서의 시간을 보내고 있었습니다.

음료에 관련된 메뉴판.

카페의 분위기도, 메뉴판도, 이렇게 까지 빈티지하게, 어쩌면 빈티지가 아닌 빈티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의 인테리어지만

어니언이라는 네임벨류로 꾸며진 이곳을 그냥 빈티로써 보기만은 힘들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보라매공원 카페, 당곡역 카페, 신림 카페, 서울 에스프레소, 스내킹

스내킹은 지하철 신림선 당곡역, 그리고 보라매공원 근처에 위치한 에스프레소를 기본으로 하여 판매가 되는 신상카페입니다.

카페의 외부 모습은 녹색을 바탕으로 아기자기한 모습의 디자인이 매력적인 곳이였습니다.

스내킹에서 사용하고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에스프레소 머신 위의 워머에 따뜻하게 예열되어 있는 에스프레소 잔들.

두개의 그라인더에 각각 다른 원두가 담겨져 세팅되어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앞에는 에스프레소 바에 간다면 한번쯤 해본다는 에스프레소 잔 쌓고 사진찍기의 샘플이 보였습니다.

많은 곳에 에스프레소바가 생기고 있고 이곳도 역시 기본 메뉴가 에스프레소를 판매하는 곳이였지만

바의 형식이 아닌 테이블과 의자가 놓여 있는 일반적인 카페의 형식을 띄고 있었습니다.

주문은 키오스크로...

당곡역 카페, 보라매공원 카페, 신림카페,  서울 에스프레소 바.

스내킹의 메뉴판입니다.

기본 에스프레소의 가격이 2,000원으로 판매되고 있었고 논 커피 메뉴들도 우측 하단에 판매되고 있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시그니처 음료인 SNK크림라떼 4,000원 // SNK 콘파냐 3,000원.

음료 위에 치즈가 올라가 있는 모습이 독특하게 다가왔습니다.

일반적인 카페에서 맛보지 못했던 독특함으로 다가왔고 이것에 따른 호불호가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말그대로 시그니처 메뉴로 이곳 스내킹만의 독특한 메뉴임에는 틀림 없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광화문역 카페, 시청역 카페, 파란만잔입니다.

카페 파란만잔은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과 1,2호선 시청역 사이에 위치해있었습니다.

카페의 입구 근처에 있는 단체석이라 써있었던 편안한 쇼파 자리.

창가와 벽쪽으로 의자와 테이블들이 나열되어 있는 구조였습니다.

카페의 안쪽에는 또 다른 느낌으로 테이블과 의자들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광화문역 카페, 시청역 카페, 파란만잔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

각기 다른 원두들로 세팅되어 있던 그라인더들.

커피와 함게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도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었습니다.

귀여운 파랑새 캐릭터로 디자인된 여러가지 아이템들.

이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원두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처음 카페의 입구에 입간판으로 메뉴판을 봤었을때 없었던 에스프레소 메뉴들.

파랑새 에스프레소와 앵무새 설탕(라빠르쉐)의 조합의 구성이였습니다.

에티오피아를 베이스로 한 블랜딩된 원두로 만들어진 화사한 에스프레소.

반응형
반응형

마포구청역 카페, 망원역 카페, 무슈부부 커피스탠드입니다.

무슈부부 커피스탠드는 에스프레소 바로 많은 인기가 있는 곳이였습니다.

망원역과 마포구청역 사이, 망원 한강공원쪽으로 가는 길에 위치해 있는 작은 에스프레소 바로

실내 공간을 이용하려면 웨이팅이 자주 발생하는 곳입니다.

제가 방문했던 날도 평일 금요일의 낮시간대였지만 이미 안쪽의 자리는 만석이라

야외에서 주문하고 야외에서 에스프레소를 받았습니다.

실내에서 못 마시는 음료인 아메리카노와 카페라떼등의 메뉴판은 따로 적혀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를 사용하고 그라인더는 안핌을 사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카페 옆 골목길에 위치해 있던 자리.

인스타 감성이 아주 물씬 풍기는 그런 자리에서 에스프레소를 다 마시고 사진을 남겨보았습니다.

망원역 카페, 마포구청역 카페, 서울 에스프레소 바, 무슈부부 커피스탠드의 메뉴판입니다.

에스프레소로 만들어진 다양한 음료들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카페 아일랜드.

에스프레소와 말차 아이스크림, 우유로 만들어진 음료.

카페 프로즌.

에스프레소와 라임 스럴쉬로 만들어진 음료.

에스프레소의 진한 커피가 부담스러운 분들이라도 충분히 맛있게 마실 수 있는 음료였습니다.

기본 에스프레소의 가격인 4,000원은 조금 비싼 가격대라 생각이 들지만 그 외의 4,500원대의 가격대로 형성된 음료들은 양은 적은 편이겠지만

충분히 가격적인 면이나 맛적인 면에서 괜찮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