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홍대입구역 카페, 연희동 카페, 로우키 연희점.

로우키 연희점은 지하철 2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인 홍대입구역에서 하차거나

경의중앙선 가좌역에서 그나마 가깝게 올 수 있습니다.

홍대입구역에서 내려 연남동 카페거리를 지나면 연희동이 나오는지라.. 1km정도의 거리가 있어 연희동을 코스로 짜셨다면

버스로 환승을 한번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작은 간판.

연희동의 커다란 주택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지만 따로 눈에 보이는 간판이 없으니

첫방문이시라면 지도 어플을 사용하시면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겁니다.

카페에 들어서면 한쪽 방에 위치한 커피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

주택을 개조한 카페라 과거 사용했던 방들을 구역별로 나눠져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홍대입구역 카페, 가좌역 카페, 연희동 카페, 로우키 연희점의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의 가격이 4,500원으로 형성되어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메뉴판 앞에는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 주문하시는 분들을, 혹은 원두 구매를 하시는 분들을 위해

분쇄되어져 향을 맡을 수 있 수 있게 샘플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는 하리오 v60을 사용하고 있었고

온도계가 달린 동드립포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음료와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작은 디저트들.

집에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게끔 스틱 커피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 위에 올려 놓아진 로우키의 커피잔들.

로우키 커피는 커피의 맛으로도 유명하지만 굿즈들도 선물용으로도 예쁘게 잘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우측에 보이는건 1월, 로우키 매장 안에서 깔리고 있는 BGM의 목록이 적힌 종이가 걸려져 있었습니다.

이런 소소한 것도 인테리어적 아이템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로우키에서 로스팅된 원두와 드립백, 그리고 티백들.

패키지들이 소장 욕구를 자극하고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기다리는 동안 로우키 연희점의 모습을 둘러 보았습니다.

호텔의 수건들처럼 무릎담요도 한칸한칸 따로 접혀 보관되어져 있었습니다.

이 곳은 커플끼리 많이들 앉아 있었던 푹신한 쇼파자리.

커피를 한잔 마시며 작업하거나 단체로 앉기 좋은 자리도 있었습니다.

커피 한잔 후 로우키를 나서는 문 앞.

저녁 노을이 로우키의 문에 있는 창에 겨울이지만 따뜻한 햇살로 가득차고 있었습니다.

카푸치노.

좌, 카푸치노.

우, 라떼.

따뜻한 우유 거품 가득한 커피 한잔 맛있게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마포구청역 카페, 망원동 카페, 찬찬커피로스터스.

찬찬커피로스터스는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과 망원역 사이에 위치한 작은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찬찬 커피로스터스의 영업 시간은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였습니다.

그리고 이곳에서 판매하고 있는 찬찬 샌드위치, 감자사라다, 에그마요가 인기가 많았습니다.

제가 방문했을때에도 몇몇 손님분들이 음료는 마시고 샌드위치는 포장해 가시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망원동 카페, 마포구청역 카페, 찬찬커피로스터스의 실내 모습입니다.

4명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 하나, 2인 테이블 2개로 총 3팀 정도가 앉아서 음료나 디저트를 먹고 갈 수 있는 규모였습니다.

하얀 벽에는 귀여운 일러스트들이 곳곳에 붙어있어 인테리어로써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

메뉴판 위에 꽂혀 있던 귀여운 크리스마스 관련 아이템들.

사장님의 취향을 볼 수 있는 귀여운 소품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1그룹의 라마르조꼬 GS3가,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는 미토스 원,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용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소규모 카페에선 1그룹 하이엔드 머신을 사용하는 곳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브루잉을 위한 그라인더인 말코닉의 ek43

커피 추출 도구들은 기본적으로 무광 검은색으로 색을 통일하고 있었습니다.

매장에서 직접 만든 르뱅쿠키.

빈티지한 장식장 안에 먹음직 스럽게 세팅되어져 있었습니다.

찬찬커피로스터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구들.

우측에 살짝 보이는 작은 로스터기가 이곳의 이름이 틀리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직접 로스팅하여 판매되고 있는 원두들.

홈카페를 집에 세팅되어져 있다면 이곳에서 소량으로 판매하는 원두들을 구매 후 자신의 취향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거 같았습니다.

책장에는 오디오와 LP판.

그리고 여행과 커피에 관한 책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사장님의 여행의 추억을 엿볼 수 있는 여행지에서 구매한 마그넷들.

뷰는 썩 좋진 않지만 창가에도 테이블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오렌지 라떼와 아몬드 크림 라떼.

시그니처 격인 메뉴지만 부담되지 않은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는 오렌지 라떼와 아몬드 크림 라떼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가좌역 카페, 마포구 중동 카페, 잇푸쿠.

카페 잇푸쿠는 지하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2번출구에서 나와 도보로 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에 들어서서 커피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곳.

전체적으로 벽은 하얀색으로, 그외 인테리어로 사용되는 자리들은 짙은 갈색으로 구성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가 사용되고 있었고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는 미토스 원,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는 말코닉의 ek43s가 사용되어 커피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애플에서, 아이패드미니, 그리고 그 옆에 시간을 알려주는 귀여운 고양이 시계가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테이크 아웃 컵.

갈색 바탕의 가을 느낌나는 일러스트의 남성 모습이 이곳 잇푸쿠 카페와 잘 어울렸습니다.

겨울시즌은 계속 크리스마스 시즌으로

옷 차람이 가벼워지기 전까지는 산타의 일은 쉬지 않는겁니다.

테이블과 의자들.

이곳에서 노트북으로 개인작업을 하거나 오랜 시간 머무르기에는 자리가 썩 편한편은 아니였습니다.

테이블과 의자가 넓지 않은 만큼 두꺼운 겨울 외투는 따로 옷걸이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가좌역 카페 잇푸쿠에서 음악을 담당하고 있는 마샬 엠프.

스마트폰의 재미로 인해 인테리어적 소품으로 변해버린 잡지들.

그리고 세이코의 노란색 탁상시계.

잇푸쿠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4,8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로

동네 카페치고는 조금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매장에서 마실때엔 친환경 컵인 허스키컵에 음료가 나왔습니다.

다양하게 연출하여 카페 라떼 아트가 예쁘게 그려진 음료를 담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대방역 카페, 구로디지털단지역 카페, 카페 일구육이입니다.

카페 일구육이는 신대방역과 구로디지털단지역 사이, 골목길에 위치한 곳입니다.

카페에 들어서면 좌측에는 커피를 주문하고 음료가 만들어지는 곳이 넓게 바 형식으로 되어져 있었습니다.

커피나 디저트등이 만들어지는 곳.

하얀색 바탕에 하얀색 에스프레소 머신, 그라인더등 색을 통일하여 깔끔한 느낌을 주는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꼬르테 XT 2그룹이였고 에스프레소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65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가 하얀색이 아니라는 점이 아쉽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아직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는 메뉴 준비가 완성되지 않았다는 말씀이 아쉬웠습니다.

겨울이 끝날때까지는 크리스마스 시즌인듯

많은 카페들이 크리스마스 트리 철거를 미루는듯한 모습이였습니다.

한쪽 벽면은 통창으로 햇살이 따사롭게 들어와 광합성하며 커피 한잔 하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눈 앞의 뷰가 썩 예쁘지 않다는 점이 조금은 아쉬움으로 다가왔습니다.

곳곳에 녹색잎이 가득한 화분과 함께

생화의 꽃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깔끔한 화이트 톤의 카페와 꽃과 작은 나무들이 따뜻한 분위기를 내어주었습니다.

일구육이 카페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으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카페라떼 4,500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