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덕역 카페, 공덕동 카페, 브루니치.

카페 브루니치는 지하철 5호선,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공덕역 1번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는 주상복합 아파트 건물의 1층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회사가 많은 오피스 상관이라 그런지 주상복합 상가의 1층에 브루니치 외에도 많은 카페들이 있었습니다.

그 중 브루니치를 선택한 이유는 작은 규모의 실내지만 스트롱홀드의 로스터기로 로스팅까지하는 로스터리 카페여서였습니다.

기본적으로 2명 자리로 세팅되어져 있었고 4~5팀 정도 앉으면 꽉차는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뒤쪽의 말코닉의 ek43은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해 놓여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들.

각각의 원두에 맞게 세팅되어진 메저, 미토스원이 있었습니다.

브루잉바.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를 위한 곳으로 드리퍼는 하리오 v60을 사용하고 있었고

드립포트는 브뤼스타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작은 디저트들도 판매되고 있었고 그 디저트들도 직접 만드는듯 했습니다.

대부분의 커피 추출을 위한 장비라던가 바리스타님들의 유니폼들의 색들이 검정색으로 묵직한 분위기의 카페였지만

햇살이 잘들어오는 창가자리의 꽃들이이 조금은 그 분위기를 완화시켜주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직접 블랜딩된 원두들, 혹은 싱글로 로스팅된 원두들을 시향할 수 있게끔되어져 있었습니다.

그 아래 메모에 간단한 설명들도 써있어 커피를 고르는데 참고사항으로 보면 좋을듯 했습니다.

휘낭시에와 쿠키들.

선물용으로도 포장이 가능했습니다.

 

스트롱홀드 S7

종류별로 나눠진 원두들이 한쪽 구석에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바리스타님의 드립하시는 모습.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들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블린딩된원두도, 싱글 오리진 원두들도 홀빈으로, 혹은 드립백 형태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공덕역 카페, 공덕동 카페, 카페 브루니치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따뜻한 라떼 한잔 맛있게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