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승배기역 카페, 상도동 카페, 보트커피.

보트커피는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2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보트커피의 의자와 테이블.

카페의 규모가 큰편은 아니였고 자리를 이용하시는 분들의 대부분도 테이크 아웃을 하시는 소님들이 커피가 만들어지는

동안 잠시 앉았다 가는 분들이 대부분이였습니다.

음료를 주문하고 만들어 지는 곳.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구역을 나누었다기 보다 가운데 공간을 제외하고 벽쪽으로 가구나 집기류들을 몰아 넣은 모습이였습니다.

브루잉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공간.

말코닉 ek43이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로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드리퍼는 메탈 소재의 하리오 v60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추출을 위한 공간.

씨메 시그니쳐와 안핌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그 외에 착즙하여 판매되고 있는 오렌지들과 앵무새 설탕이라고 불리우는 라빠르쉐 각설탕도 하얀색, 갈색등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작은 공간이지만 로스터기까지 구비되어있는

로스터리 카페였습니다.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들은 소량으로도 구매가능하였습니다.

책장에 놓여진 커피 관련된 책들.

카페 리브레에서 만들어진 로스팅, 생두, 브루잉등 다양한 종류의 커피 관련 책들이 있었습니다.

장승배기역 카페, 상도동 카페, 보트커피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3,000원으로 형성되어진 가격대로 음료가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메뉴판엔 없지만 에스프레소를 마시고 싶어 에스프레소 한잔 주문 후

맛있게 마셨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대방역 카페, 신림 카페, 신사동 카페, 에톨라톤.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 1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 에놀라톤입니다.

카페는 건물을 지탱하는 기둥들 외에는 개방감 좋게 창으로써 외관을 둘러 싸고 있었습니다.

신대방 뚝방길은 봄날의 벚꽃이 유명한 곳입니다.

조만간 꽃잎들이 올라오면 카페에서 바라 보는 뷰는 정말 예쁘게 변할 예정입니다.

카페의 테이블과 좌석들의 모습들.

사진에서 나온 곳 외에 출입구 근처의 2명 정도 앉을 수 있는 바 자리도 마련되어져 있었습니다.

신대방역 카페, 신사동 카페, 신림동 카페, 에놀라톤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그라인더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 e61, 그라인더는 안핌 제품으로 2개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와 그라인더들 옆에 놓인 것들.

메뉴판과 쿠키, 그리고 카페 에놀라톤의 소리를 채워주고 있는 작은 오디오를 볼 수 있었습니다.

 

구형 아이폰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야마하 오디오.

사장님의 취향에 맞춰진거 같은 책들.

한쪽에는 사탕들이 쌓여져 있었습니다.

맛있는 원두로 유명한 카페 폰트 커피의 원두 패키지들이 쌓여져 있었습니다.

카페 에놀라톤을 사랑하는 소님들의 작품들이 한쪽 벽면에 전시되어져 있었습니다.

공간의 곳곳에 정리되어진 각종 카페 용품들.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의 3,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로 형성되어져 있었습니다.

맛있어 보이는 쿠키는 포장으로.

반응형
반응형

홍대카페, 서교동 카페, 연남동 카페, 히트커피로스터스 서교.

히트커피 로스터스 서교는 지하철 2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가 있는 홍대입구역 1번 출구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히트커피 로스터스는 2016년 오픈했다고 카페의 입구 옆에 현판이 있었습니다.

홍대 카페, 연남동 카페, 이 근방은 카페가 생기는 것도 폐업하는 것도 워낙 다반사인 곳에서

오랫동안 한 자리를 지키는건 그만큼 많이 사랑을 받고 있는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카페의 입구에서 들어서면 보이는 장면.

좌측으로는 커피와 디저트등을 결제하고 받을 수 있는 곳과 커다란 메뉴판, 그리고 지금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콜드브루를 추출할 수 있는 도구들이 있었습니다.

손님들이 앉을 수 있는 자리의 모습들.

창가의 자리엔 2인석과 더불어 바 형식으로 혼자온 손님들이 앉아 커피 한잔에 자신의 일을 하는 분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도 한쪽의 바 자리에 앉아 그 곳에서 보이는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추출하는 도구들을 촬영해보았습니다.

물을 셀프로 따뜻한 물과 시원한 물이 각각 놓여져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의 원두를 고를 수 있는 곳.

원두의 원산지에 대한 내용과 커핑노트가 적힌 노트가 있어 원두 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었습니다.

물론 바리스타님에게 추천을 부탁하면 자세하게 설명도 해주셨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홈카페를 위한 원두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간단하게 마실 수 있는 드립백과 콜드브루 원액, 그리고 이곳의 굿즈인 컵도 진열장에 전시되고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 그라인더는 원두의 따라 2개의 메저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s도 있었습니다.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추출하는 모습.

드립포트와 드리퍼 사이에 물을 균일하게 떨어뜨려주는 기구를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홍대입구역 카페, 홍대 카페, 서교동 카페, 연남동 카페, 히트커피 로스터스 서교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4,000원//아메리카노 4,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히트커피의 인기 메뉴 중 하나인 콜드빙하 5,500원

콜드빙하를 주문하면 동영상처럼 커피를 서빙 후 크림을 부어주었습니다.

저도 인스타 감성으로 영상하나 찍어보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방역 카페, 노량진 카페, 대방동 카페, 브루클린커피

브루클린 커피는 지하철 1호선 대방역 2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받는 곳.

가장 안쪽은 베이킹을 위한 공간이고 오픈된 공간은 음료를 위한 공간으로 되어져 있었습니다.

매장에서 직접 만들어지는 각종 디저트와 빵들.

노량진도 멀지 않고 근처 학원들도 있어서 그런지 커피와 함께 간단하게 배채울 수 있는 베이커리류의 제품들이 많이 보였습니다.

케이크류나 밀크티, 과일에 관련된 음식들은 투명 유리창으로 되어진 곳에 냉장 보관되어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앞쪽은 선물 포장 용기도 예쁜 디자인으로 놓여져 있었습니다.

그라인더는 원두에 따라, 추출 도구에 따라 3개의 그라인더가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홀의 모습.

출입문쪽은 통창으로 인해 자연광 햇살이 정말 잘들어 왔습니다.

안쪽으로 갈 수록 차분한 분위기와 함께 따뜻한 느낌의 조명으로 부족한 빛을 더해주고 있었습니다.

1인 손님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었던 출입문쪽의 창가 바 자리.

공간의 곳곳은 액자나 화분들로 빈 곳을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카페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두들.

블랜딩된 원두들도, 싱글로 로스팅된 원두들도 종류별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대방역 카페, 노량진 카페, 대방동 카페, 브루클린커피의 메뉴판.

아메리카노의 가격 3,500원으로 형성되어져 있었고 취향에 따라 브루클린 블랜드와 베퍼드 블랜드를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