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망원역 카페, 망원동 카페, 넌슬립 에스프레소바.

카페 넌슬립은 지하철 6호선 망원역 2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주택단지 반지하에 위치한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한 음료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서울에 한창 인기가 많은 형식의 카페인 에스프레소바.

넌슬립 에스프레소바의 전체적인 모습.

망원동의 경우 빌라 단지나 주택의 반지하나 1층을 개조하여 카페나 음식점등 상업 시설들이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

입구쪽은 밝은 날씨지만

카페의 실내의 경우 따뜻한 색온도의 조명들로 실내를 비춰주고 있었습니다.

전체적인 카페의 분위기는 차분한 느낌의 공간이였습니다.

따뜻함을 전해주는 노란 조명, 그리고 톤 다운된 갈색빛깔 나무의 가구들.

대낮이지만 환하고 밝음의 분위기를 피해

차분함을 느끼기 좋은 공간이였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기 좋은 작은 디저트들.

에스프레소 머신의 훼마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추출 온도가 94도로 세팅되어져 있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그라인더는 피에렌자또의 f64e를 원두에 따라 다르게 세팅되어진

2대의 기기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음료를 제조하는 바리스타님의 팔뚝!

 

망원동 카페, 망원역 카페, 넌슬립 에스프레소에서 판매되고 있는 작은 악세사리들.

술의 경우 메뉴판에 없어서 판매가 되는건지

아니면 인테리어의 소품인지 .. 카페 분위기가 잘 어울려서 일단 찍어보았습니다.

카페 넌슬립의 메뉴판.

기본 에스프레소가 2,000원대로 저렴한 편이였습니다.

다만 1잔을 시키면 3,000원. 2잔을 시키면 4,000원으로 독특한 가격으로 에스프레소가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빌지.

주문한 음료가 어떤건지, 간다하게 마시는 법이 적힌 종이를 함께 제공해주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시그니처.

3,000원이지만 한잔만 주문하여 4,000원.

반응형
반응형

경복궁역 카페, 광화문 카페, 에스프레소바 구테로이테 경복궁점.

구테로이테 경복궁점은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6번 출구와 연결되어진 건물의 1층에 위치해 있는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판매되는 카페입니다.

에스프레소바지만 일반 카페들과 같이 앉아서 편안하게 마실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넓은 규모의 빌딩 1층의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고

그 규모는 꽤 넓은 편이였습니다.

카페의 가운데는 반원의 테이블이 길게 두개 정도 놓여져 있었고

벽쪽으로 의자와 테이블들이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바 형식의 높은 자리도,

일반적인 높이의 자리도 .

취향껏 앉아서 커피를 마시며 쉬었다 가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한쪽 벽에 걸려있던

조명이 나오는 거울.

이곳에서 사진을 찍는 커플들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커피가 만들어지는 곳.

원두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그라인더들이 따로따로 놓여져 있었고

에스프레소 머신의 크기 또한 엄청났습니다.

경복궁역 카페, 광화문 카페, 에스프레소바 구테로이테 경복궁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두, 드립백, 굿즈들.

커피와 함께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디저트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구테로이테 경복궁점의 메뉴판.

기본 에스프레소가 2,000원으로 시작되었고

그것을 베이스로한 다양한 음료들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시그니처 에스프레소 - 구테로이테

원두를 변경하여 게 5,800원에 맛있는 에스프레소 한잔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명동 카페, 을지로입구역 카페, 명동 에스프레소 바, 타우너스 을지로

타우너스 을지로는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1-1번 출구 더존 을지로타워 건물 안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명동의 높은 빌딩들 사이에 있는 타우너스 에스프레소바의 층고는 정말 높았습니다.

그 높은 위치에 적힌 노 카페인, 노 워크.

카페인 빨로 버티고 있는 모든 직장인들 화이팅입니다!

명동 에스프레소바, 타우너스의 심볼이 디자인된 T가 가운데 걸려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곳은 바 형식으로 되어 있어 있었고

잠시 앉았다 갈 수 있게끔 높은 의자들도 놓여져 있었습니다.

실내의 모습.

동남아의 휴양지의 카페처럼 인테리어가 되어져 있었습니다.

인테리어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커다란 파라솔.

햇살은 빌딩의 커다란 창으로 들어와 햇살때문에 앉아 있기 힘들거나 하진 않았습니다.

많은 에스프레소 바들이 작은 에스프레소 잔에 자신들만의 문구가 적힌 컵과 컵받침이 있었고

이곳 을지로 입구역에 위치한 타우너스 에스프레소바도 에스프레소 잔과 컵받침등 다양한 굿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네스프레소 호환으로 만들어진 캡슐커피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창의 한쪽에는 고가의 에스프레소 잔들이 전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커피가 만들어지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은 5그룹의 레버형으로 사이즈가 대형이였습니다.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를 위한 ek43s도 작은게 아닌데 대형 에스프레소 머신 앞에서는 작게 보여졌습니다.

 

에스프레소를 위한 그라인더는 미토스 원이.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가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필터커피를 위해 따로 보관되고 있는 원두들.

원두의 맛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금 컵노트에 적힌 베리류의 그림이 인상적이였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

까눌레는 선물용으로도 패키지되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초콜렛이나 케이크류는 냉장보관되어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3,000원

아메리카노 4,500원의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바지만 일반적인 카페메뉴는 다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모카 마끼야또 3,500원

반응형
반응형

보라매공원 카페, 보라매병원역 카페, 신대방동 카페, 메리커피플레이스

카페 메리커피플레이스는 지하철 신림선 보라매병원 2번 출구 근처에 있는 보라매 우성아파트 1층 상가 안쪽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보라매공원이나 보라매병원을 방문하고 나서 커피 한잔하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카페 내부의 모습.

이곳은 커피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

아파트 상가 1층의 안쪽에 작은 상가라 오랫동안 앉아서 쉬거나 작업을 위한 공간은 아니였습니다.

2명 손님 정도로 3팀을 받으면 카페가 꽉차는 곳이였습니다.

작은 공간이지만 비어 있는 곳곳에 작은 빈티지한 아이템이나 커피를 위한 추출도구등이 놓여 있어서

시선을 카페 안쪽으로 잡아주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 E61을 사용하였고

그라인더는 메저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커피 외에 디저트나 차를 만들 수 있는 제료들도 잘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디저트는 주문하는 곳 앞쪽에 깔끔하게 유리장 안에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매일 직접 만들고 판매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원두들.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싱글도징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드리퍼는 칼리타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어둑어둑한 분위기에 은은한 조명,

그리고 에스프레소 머신에서 나오는 스팀이 사진의 분위기를 더 해주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의 경우 종류별로 간단한 설명과 커핑노트로 메뉴판을 대신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아이스로 한잔.

따뜻한 플랫화이트.

아이스 플랫화이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