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남양주 카페, 북한강 카페, 아유 스페이스, AYU SPACE

과거 재벌가의 집을 카페로써, 레스토랑으로써, 갤러리로써 용도를 변경하여 교외로의 드라이브 코스가된

아유 스페이스입니다.

아유 스페이스는 3개의 서로 다른 용도의 건물들이 있었고 카페로 들어서기 전 AYU라는 문구와 함께

갤러리로써 활용되고 있는 한옥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가장 메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카페가 있는 건물.

음료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시네소, 에스프레소를 위한 그라인더는 미토스 원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의 경우

드립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이곳에서 만들어진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추출하여 손님에게 서비스 되고 있는걸 볼 수 있었습니다.

브루잉 바.

케믹스와 더치커피, 드립포트등 다양한 필터커피를 위한 추출 도구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s 그라인더도 2대가 운영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음료와 함께 같이 곁들여 먹기 좋은 디저트들.

작은 핑거푸드, 조각 케이크, 베이커리류의 음식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어 있었습니다.

AYU SPACE . 아유 스페이스는 원두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원두들이 판매되고 있었고 각 원두들은 갈려진 상태로 시향을 할 수 있었습니다

200g을 구매하면 커피 한잔을 제공한다고 공지되어져 있었습니다.

카페에 입구에는 다양한 꽃들이 전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각종 생화들이 입구에서부터 반겨주어 카페의 공간에 화삼을 더해주고 있었습니다.

남양주 카페, 아유 스페이스의 실내 모습.

카페의 실내의 모습는 대형 카페 답게 정말 넓었고 다양한 의자와 테이블들이 모던한 분위기로 공간을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곳의 포인트 중 하나인 카페 가운데의 커다란 돌.

카페의 중앙에 위치한 이 돌은 카페 곳곳에 돌멍하기 좋은 돌멍존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화장실.

손 세정제의 냄새도 참 좋았던 곳.

카페의 옆에는 한옥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이곳은 갤러리로써 활용되는 곳이였습니다.

[흙의 의식: 여성 작가 6인전]

제가 방문했을때의 갤러리 위와 같은 주제로 전시가 되고 있었습니다.

갤러리의 작품도 작품이지만 한옥의 실내 공간에서 들어오는 햇살이 따뜻한 느낌으로 다가오는게 좋았던 곳입니다.

그리고 세번째 건물은 레스토랑으로써 활용되는 건물입니다.

이곳은 따로 들어가보진 못하고 창 너머로 사진만 살짝 담아보았습니다.

아유 스페이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야외 정원, 야외 테라스 자리들.

남양주의 대형 카페 답게 넓은 정원을 카페의 야외 자리로써 활용하고 있었고

북한강의 뷰가 좋아 물멍 때리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산책을 하다보면 곳곳에 숨겨진 자리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커플끼리 북한강을 바라보며 조용한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곳들도 많으니 숨은 자리를 찾아보시는 것도 하나의 재미가 아닐까 합니다.

넓은 잔디밭과 그늘을 만들어주는 나무들.

반응형
반응형

관악역 카페, 석수동 카페, 더홈

카페 더 홈은 지하철 1호선 관악역 2번 출구로 나와 삼막맛거리촌쪽으로 도보 10분정도 걷다 보면 찾을 수 있는 카페입니다.

카페는 1970년에 지어진 옛주택을 카페로 용도변경하여 진 곳으로

카페 더홈 입구에는 돌하르방이 위치해 있는게 독특했던 곳입니다.

자갈로 채워진 마당에는 야외 테이블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실내의 모습.

과거 주택으로 사용되었던 모습이 곳곳에 묻어나 있었고

빈티지함을 살리기 위해 벽돌이라던가 노출콘크리트로 마감을 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6인의 단체 손님이 앉을 수 있는 나무로 만들어진 긴 테이블과 의자

과거 집으로 사용되었다면 있어야할 방이란 공간은 문을 탈거되었지만

발을 사용하여 적당히 외부와 차단되어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

관악역 카페, 석수동 카페, 더홈의 뒷마당의 모습입니다.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쇼파 형태의 자리도, 일반적인 카페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자리도

다양한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커피가 만들어지는 주방은 야외 테이블 손님에게 음료를 전달하기 쉽게 창이 있었습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 4,500원

흑임자 라떼 6,500원.

반응형
반응형

보라매역 카페, 보라매공원 카페, 대방동 카페, 파세로 에스프레소바.

파세로 에스프레소 바는 지하철 7호선 보라매역 1,2번 출구로 나와 참새 어린이공원으로 발길을 하면

찾을 수 있는 카페입니다.

노출 콘크리트로 마감된 벽들과 인스타 감성이 물씬 나는 낮은 테이블들.

빈티지한 긴 나무 벤치가 묵직하게 한쪽 벽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낮은 테이블로 인해 오랜 시간 자리를 잡고 작업이나 공부를 하기에 적합한 곳은 아니였습니다.

그래도 에스프레소 바라는 이름의 카페로 서서 마시는 곳, 혹은 자리를 잡으면 따로 가격을 더 받는 곳도 있지만

파세로 에스프레소바의 경우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테라스에 위치한 캠핑용 의자와 테이블.

아주 덥거나 춥지 않는 날엔 그늘 아래 자연 바람을 맞으며 커피 한잔하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보라매공원 카페, 보라매역 카페, 파세로 에스프레소바에서 판매되고 있는

굿즈와 원두들.

파세로 에스프레소바는 따로 원두를 로스팅하는 곳이 있었고

그곳에서 블랜딩되어진 원두를 소량으로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커피나 디저트를 주문하는 곳.

커피와 함께 간단히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작은 디저트들도 용기 안에 보관되어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e61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파세로 에스프레소바의 메뉴판.

기본 에스프레소의 가격은 2,500원으로,

가장 비싼 아포가토의 가격도 4,500원대로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뱅쇼 그라니따

피노.

반응형
반응형

연희동 카페, 더니커피

연희동이라는 곳은 지하철로는 거리가 조금 있어 홍대입구역이나 신촌에서 버스로 환승을 해야하는 곳입니다.

더니커피역시 지하철 보다는 버스로 찾아오시는 편이 좀 더 접근성이 좋은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1그룹의 라마르조꼬와 디팅의 그라인더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음료가 만들어지는 곳.

작은 규모의 카페지만 커피를 위한 장비들은 다 갖춰진 곳이였습니다.

핸드드립 커피 (필터커피)를 위한 그라인더인 디팅.

작은 로스터기도 있었고 원두 역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작은 카페, 연희동 카페 더니커피.

테이블과 의자들 역시 많은 손님들을 수용할만한 곳은 아니였습니다.

2명으로 3팀 정도 받으면 카페가 꽉 차는 공간이였습니다.

커피와 같이 곁들여 먹기 좋은 조각 케이크.

샘플 원두가 있어 시향도 가능했습니다.

원두를 구매하거나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마실때 참고하시면 좋을듯했습니다.

드리퍼는 하리오 v60을 사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연희동 카페, 더니커피에서 마스코트 역활을 하고 있었던

검정색 작은 강아지.

입주변만 하얀털이 매력적이였습니다.

 

더니커피의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가 5,000원대로 시작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측의 경우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를 위한 원두들이 커핑노트와 가격등이 간단하게 적혀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다양한 원두를 취급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5,000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