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로5가역 카페, 광장시장 카페, 아마츄어작업실 광장시장점 (오제도)

아마츄어작업실, 혹은 오제도라도 불리는 이 카페는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 1번 출구 근처에 위치해 있는

빈티지한 매력이 가득한 카페였습니다.

카페 입구에서부터 커피향과 함께 옛 가구들에서 뿜어져 나오는 냄새가 도심의 그것과는 다르게 다가왔습니다.

이곳 카페의 디렉터 소개와 각종 매체에 소개된 잡지나 여행지의 책장의 일부분을 발취하여 한 곳에 배치해 놓았습니다.

고노 드리퍼위에 수북히 쌓여진 커피 가루들.

지금은 기억속에 잊혀진 비디오 테이프, 그리고 CD가 함께 플레이 되는 플레이어.

그리고 각종 CD들.

이제는 찾기 힘들어지는 좌식자리도 이곳 아마츄어작업실 광장시장점에서는

곳곳에 있었습니다.

혼자 온 사람들을 위한 자리.

많은 분들이 구석의 1인석에서 음료나 디저트를 먹으며 작업하시는 분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아늑한 구석자리의 1인석이라 도서관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자리였습니다.

1층의 우측에는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하는 곳이 있었습니다.

아마츄어작업실에서 판매되고 있는 각종 원두들도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아마츄어작업실 광장시장점에서 판매되는 각종 소품들과 디저트들을 볼 수 있었고

선물용으로 깔끔하게 포장된 제품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종로5가역 카페, 광장시장 카페, 오제도는 에스프레소 머신이 없는 곳이였습니다.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만을 파는 곳으로 다양한 종류의 원두들이 밀봉된 병 안에 있었고

후지로얄로 보이는 소형 그라인더로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를 내려주고 있었습니다.

높은 빌딩 숲 사이에 위치한 오제도.

낡고 좁은 계단을 올라 2층으로 올라와 봤습니다.

어느 글쓴이의 멋진 글귀.

어느 자리 하나 통일성이 있지 않았던 곳.

옛 가구들을 활용하여 공간을 채우고 있는 이곳은 공간을 찍거나 그곳의 분위기를 담는걸 좋아하는 저에게는

정말 사진찍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이 공간에 어울리는 다양한 옛 소품들.

종로카페, 광장시장 카페, 아마츄어작업실 광장시장점 (오제도)의 메뉴판.

에스프레소머신은 없지만 라떼와 비엔나 커피등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드립커피(브루잉)라 가격대는 브리잘 원두가 5,500원으로 여타 다른 카페들 보다는 높았습니다.

비엔나 커피 7,000원

 

내일이 휴일이라면 (에티오피아 내츄럴) 6,500원.

반응형
반응형

신대방역 카페, 조원동 카페, 신림 카페, 언사이드 커피 로스터스.

언사이드 커피 로스터스는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에서 조원동 방향에 위치한 동네 카페치고는 꽤 규모가 큰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카페의 실내 모습.

많은 부분이 전면 창으로 되어져 있어 자연광이 잘 들어오는 밝은 분위기의 카페였습니다.

인테리어 역시 밝은 갈색의 나무가 베이스로되는 가구들로 배치가 되어져 있었습니다.

창가자리.

조금 더 늘어질 수 있는 각을 추구하는 의자와 테이블들.

입구의 우측 부분에는 바 형식으로 높은 테이블과 의자들이 있어 혼자서 작업하시는 분들에게 인기가 많은 곳이였습니다.

음료와 같이 먹기 좋은 각종 디저트들.

조각케이크와 구움 과자등이 깔끔하게 포장되어져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도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로스팅된 날짜가 조금된 원두들은 할인 판매도 하고 있어서 구입 후 바로 홈카페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는 분들이라면

조금이라도 부담이 덜 수 있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카페의 테이블 위에는 생화들이 예쁘게 놓여져 있었습니다.

빈 공간의 곳곳에 식물이 있어 밝은 분위기에 잘 어울렸습니다.

신대방역 카페, 조원동 카페, 신림 카페, 언사이드 로스터리 카페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으로

고소한 맛이 강조된 원두나 과일향의 산미가 있는 원두 중에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3,500원.

반응형
반응형

역촌역 카페, 역촌동 카페, 카페 새시로

카페 새시로는 지하철 6호선 역촌역 1번 출구 근처에 위치해 있는 동네의 작은 카페입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 그라인더, 오븐등 이곳에서 판매되는 식음료들을 직접 다 만드시는듯 했습니다.

종류별로 만들어진 휘낭시에와 에그타르트.

음료와 곁들여 먹기 좋은 디저트들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역촌역 카페, 카페 새시로는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도 가능한 곳이였습니다.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는 펠로우의 오드를 사용하고 있었고 드리퍼는 하리오의 v60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카페의 규모는 3팀 정도 들어오면 꽉 차는 공간이였습니다.

짙은 갈색의 나무가 주는 공간의 차분함이 좋았습니다.

넓은 곳은 아니지만 공간을 채우는 사장님의 센스가 좋았습니다.

사진과 그림, 책, 그리고 작은 화분들.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감성적인 느낌으로 가득찬 곳이였습니다.

메뉴판.

아메리카노 3,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메뉴판엔 없지만 에스프레소 가능하다 하셔서 진한 커피향이 좋은 에스프레소 맛있게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상수역 카페, 합정역 카페, 에스프레소 바, 딕시랜드.

카페 딕시랜드는 지하철 6호선 상수역과 지하철 2호선, 6호선 합정역 사이에 위치한 에스프레소바 형식으로된 곳입니다.

음료가 만들어지는 곳.

짙은 갈색의 나무로 프레임이 만들어진 곳으로 좌우에는 스피커가 위치해 있었고 안쪽에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그라인더가 놓여져 있었습니다.

수동 레버 형식의 2그룹의 에스프레소 머신과 콤팍 R80을 활용하여 에스프레소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굿즈 중 하나인 머그컵.

그리고 무료로 나눠주고 있는 스티커가 바 옆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바에서 서서 마셔도 되고 우측 창가자리에 작은 테이블과 의자도 있어 커피를 마시는 동안 잠시 앉았다 갈 수 있는

공간도 있었습니다.

상수역 카페, 합정역 카페, 에스프레소 바, 딕시랜드의 주문은 매장 입구에 있는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주문하는 방식이였습니다.

기본 에스프레소가 2,700원으로 판매가격이 형성되어 있었고 에스프레소 외의 메뉴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커널 3,200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