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망원역 카페, 합정역 카페, 컴피커피, comfy coffee

컴피커피는 지하철 6호선 망원역과 2호선 합정역 사이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성산초등학교 바로 맞은편에 위치한 도로변에 위치해 있어 찾기 쉬운 곳이였습니다.

카페의 실내 모습.

전체적으로 나무의 갈색 바탕으로 되어 있어

차분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였습니다.

출입문이 있는 곳은 전체가 투명 유리로 되어져 있어 햇살이 따사롭게 잘 들어왔습니다.

아무래도 출입문쪽에만 창이 있어 앞쪽은 밝고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조금씩 어두워 간접 조명으로써 부족한 빛을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옆쪽의 바 자리.

그리고 이곳에서 만들어지는 디저트들은 사진에서 보이는 오븐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있었습니다.

벽쪽에 붙은 감성 사진들과 바닥의 그림.

곳곳에 액자와 함께 녹색 화분들이 공간을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꼬르떼 XT 2그룹으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용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가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사용되는 에스프레소용 원두는 베르크의 베이비 블랜드였습니다.

워낙 인기 있는 원두라 홈카페용으로도 많이 소비되는 원두가 아닐까 합니다.

음료와 함께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도 유리관 안에 깔끔하게 진열되어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가 4,500원으로 형성된 가격이였고

브루잉의 경우 7,000원으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한잔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광흥창역 카페, 마포구 구수동 카페, 하비즈커피룸

하비즈커피룸은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4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의 내부 모습입니다.

가장 안쪽에는 음료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곳과 함께 바 자리도 마련되어져 있었습니다.

벽쪽에 붙어 있는 원형 테이블과 의자들.

그리고 벽에는 자칫 하얀벽의 허전함을 작은 사진들로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카페의 내부는 햇살이 잘 들어오는 곳은 아니였습니다.

부족한 빛은 조명들로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2인 쇼파자리.

4인 테이블.

광흥창역 카페 하비즈커피룸의 공간은 옛상가의 외관과 빈티지한 인테리어가 매력적인 곳이였습니다.

카페의 메뉴판과 고양이 사진들.

아메리카노 4,000원대로 시작되는 가격대였고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의 경우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G1이 6,000원으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카페에서 사용되고 있는 집기들과 가구들, 그리고 녹색잎으로 채워진 화분들이 곳곳에 놓여져 있었습니다.

벽에는 여행사진, 고양이 사진들이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추출을 위한 공간.

훼아 e61의 에스프레소 머신, 에스프레소 용 그라인더는 안핌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s.

드립하시는 모습.

드립포트는 브뤼스타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바닐라빈 라떼

5,500원.

에스프레소 4,000원.

반응형
반응형

공덕역 카페, 공덕동 카페, 브루니치.

카페 브루니치는 지하철 5호선, 6호선, 공항철도, 경의중앙선 공덕역 1번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는 주상복합 아파트 건물의 1층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회사가 많은 오피스 상관이라 그런지 주상복합 상가의 1층에 브루니치 외에도 많은 카페들이 있었습니다.

그 중 브루니치를 선택한 이유는 작은 규모의 실내지만 스트롱홀드의 로스터기로 로스팅까지하는 로스터리 카페여서였습니다.

기본적으로 2명 자리로 세팅되어져 있었고 4~5팀 정도 앉으면 꽉차는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뒤쪽의 말코닉의 ek43은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해 놓여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들.

각각의 원두에 맞게 세팅되어진 메저, 미토스원이 있었습니다.

브루잉바.

핸드드립커피 (필터커피)를 위한 곳으로 드리퍼는 하리오 v60을 사용하고 있었고

드립포트는 브뤼스타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작은 디저트들도 판매되고 있었고 그 디저트들도 직접 만드는듯 했습니다.

대부분의 커피 추출을 위한 장비라던가 바리스타님들의 유니폼들의 색들이 검정색으로 묵직한 분위기의 카페였지만

햇살이 잘들어오는 창가자리의 꽃들이이 조금은 그 분위기를 완화시켜주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직접 블랜딩된 원두들, 혹은 싱글로 로스팅된 원두들을 시향할 수 있게끔되어져 있었습니다.

그 아래 메모에 간단한 설명들도 써있어 커피를 고르는데 참고사항으로 보면 좋을듯 했습니다.

휘낭시에와 쿠키들.

선물용으로도 포장이 가능했습니다.

 

스트롱홀드 S7

종류별로 나눠진 원두들이 한쪽 구석에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바리스타님의 드립하시는 모습.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들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블린딩된원두도, 싱글 오리진 원두들도 홀빈으로, 혹은 드립백 형태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공덕역 카페, 공덕동 카페, 카페 브루니치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따뜻한 라떼 한잔 맛있게 마시고 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신대방역 카페, 신대방동 카페, 보라매공원 카페, 틱택커피.

틱택커피는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 4번 출구 근처에 위치해 있는 카페입니다.

주소로는 동작구 신대방동으로 신대방역에서 하차하여 보라매공원으로 가기 전, 혹은 다녀 온 후 들리기 좋은

인스타 감성 넘치는 카페였습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큰 종이에 틱과 택이 적혀 있었습니다.

그리고 틱택커피의 정면의 모습.

음료나 디저트등을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독특하게 바 자리 아래에 쿠폰들이 정신 없이 붙어있었습니다.

간단한 병맥주등도 냉장고에 진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신대방역 카페, 신대방동 카페, 틱택커피의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브루잉바.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를 위한 원두들과 드리퍼, 그라인더가 잘 정리되어져 있었습니다.

커피 추출을 위한 도구들.

앞쪽은 필터커피 추출을 위한 브루잉바라면 옆쪽엔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기 위한 장비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 제품으로, 그라인더는 안핌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옆쪽 구석은 바 자리가 있었습니다.

아이템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던 스케이트 보드들.

빈티지한 감성, 혹은 인스타 감성 카페로써의 인테리어적인 부분이 커피나 디저트를 먹으며 사진을 남기기에도 좋아보였습니다.

넓은 자리는 대략적이라도 인원을 맞추는 센스가 필요하지 않나싶습니다.

카페의 테이블과 의자들은 모두 서로 다른 스타일로써 톡톡 튀는 느낌을 주고 있었습니다.

 

와인병들도 빈 공간에서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이제는 슬슬 크리스마스 시즌이 끝나고 벚꽃이 피는 봄의 계절이 기다려지고 있네요.

델몬트 미니어쳐.

작은 사이즈로 만들어진 델몬트 오렌지 쥬스병들.

생화, 혹은 드라이플라워들도 공간을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이름모를 예술가들의 작은 그림들.

따뜻한 아메리카노, 따뜻한 라떼.

맛있게 먹고 왔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