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흥역 카페, 서강대 카페, 신수동 카페, 소저너 커피.

소저너 커피는 지하철 6호선 대흥역 4번 출구 근처에 위치해 있었고, 서강대 정문에서도 멀지 않아 서강대 학생분들도

많이 찾는 카페였습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소형 로스터기와 생수와 로스팅된 원두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소저너 커피의 공식 인스타그램에는

'소규모 커피 로스터 & 브루어.

일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아주 사소한 일을 합니다.'

라는 인사 문구가 적혀 있었습니다.

앞쪽에는 로스팅하는 곳과 햇살이 잘 들어오는 테이블 하나가 놓여져 있었고

3개의 계단을 올라가면 넓은 공간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작은 테이블 하나, 작은 화분하나.

빈 공간에는 화분들이 놓여져 있어 카페의 생기를 더 해주고 있었습니다.

하얀색 바탕의 카페와 무채색의 테이블과 의자들.

모던한 분위기의 차분함을 주는 실내 인테리어였습니다.

 

전신 거울 앞에서는 셀카를 찍으시는 여성 고객분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과거 스마트폰이 없을때에는 카페에는 책장에 잡지와 책들이 손님들의 손떼 묻은 경우가 많았는데

지금은 카페의 분위기를 더 해주는 소품이 되어버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대흥역 카페, 서강대 카페, 신수동 카페, 소저너 커피는 로스터리 카페 답게

이곳에서 직접 로스팅한 원두들이나 드립백등 홈카페를 위한 제품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음료가 만들어지는 곳은 정말 오픈되어져 있었습니다.

바의 형태는 커피나 서빙을 하기 위한 필요한 장비들이 놓여진 최소한의 가구만 배치되어져 있었습니다.

카페의 가구들과도 잘 어울리게 커피 추출을 위한 기구들도 무광 검정색으로 색이 잘 매칭되어져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시네소 2그룹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브루잉 바.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의 경우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가 놓여져 있었고

드리퍼는 하리오의 v60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프로스터 로스터기.

카페의 메뉴판.

블랙커피 (아메리카노)기준 4,000원으로 형성되어져 있었습니다.

좌측 상단은 이곳의 시그니처 음료격인 크림드 라즈베리 밀크.

좌측 하단은 밀크커피 (라떼).

그리고 커피와 함께 맛 볼 수 있는 디저트 한조각.

정말 맛있는 음료와 디저트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서울숲역 카페, 뚝섬역 카페, 성수동 카페, 베러로스팅랩&쇼룸.

베러로스팅랩&쇼룸은 수인분당선 서울숲역과 지하철 2호선 뚝섬역 사이에 위치한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카페 내부의 모습.

베러로스팅랩&쇼룸의 실내는 3팀 정도 앉으면 꽉차는 규모의 넓은 편은 아니였습니다.

카페에서 사용되고 있는 커피 추출을 위한 장비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의 e61.

에스프레소를 위한 그라인더는 미토스 원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와 커핑등에 이용되고 있는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k43.

ek43과 다른 점은 그라인딩 할 수 있는 부분이 2개로 되어 있다는 점이였습니다.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의 경우 하리오의 v60 드리퍼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커피를 앉아서 마실 수 있는 공간은 넓은 편이 아니였지만 커피 추출을 위한 공간은 부족함이 없었습니다.

가장 안쪽에는 원두를 위한 로스팅 공간이 마련되어져 있었고 로스터기는 기센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과 드립백등은 매장이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가 가능했습니다.

커피와 같이 먹을 수 있는 간단한 디저트들.

미토스 그라인더 위에 놓인 귀여운 고양이 캐릭터.

성수동 카페, 뚝섬역 카페, 서울숲역 카페, 베러로스팅랩&쇼룸을 찾아갔던 이유.

과거 루아르 커피바에서 일하셨다가 이쪽으로 옮기신 바리스타님이 있어서 일부러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같이 카페투어를 다니는 친구와 안면이 있어 이런저런 이야기도 하며 커피 한잔 맛있게 마실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카페 라떼와 희미하게 보이는 디저트.

반응형
반응형

망원역 카페, 망원동 카페, 프라이빗커피하우스입니다.

프라이빗커피하우스는 지하철 6호선 망원역 2번 출구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내리고 있는 훈훈한 바리스타님.

핸드드립커피(필터커피)는 하리오v60 드리퍼를 사용하여 브루잉하고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

그 앞에도 2명이 앉을 수 잇는 작은 바의 자리도 마련되어져 있었습니다.

브루잉을 위한 그라인더.

말코닉 ek43s를 활용하여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의 원두 그라인딩을 하였습니다.

e61그룹헤드를 가진 에스프레소 머신, 그리고 안핌의 그라인더가 에스프레소를 위한 추출도구로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주방은 오픈되어져 있었고 인테리어가 정말 예쁘게 잘 꾸며져 있었습니다.

카페의 실내 모습들.

빌라 1층에 위치한 카페로 벽마다의 큰 창이 있지만 외부의 뷰는 썩 좋지 못했습니다.

그 뷰는 하얗고 얇은 커튼으로 가리고 분위기를 더하고 있었습니다.

 

책장 하나에도 분위기있게 꾸며져 있는 모습이 좋았습니다.

곳곳에 작은 화분이 있어 더 좋지 않나 싶었습니다.

입구쪽 창가자리는 높은 높이의 테이블과 의자로 바 형식으로 되어져 있었습니다.

크리스마스는 겨울 시즌 끝날때까지!

제가 방문했을때에는 커피 관련 유튜브를 하고 있는 삥타이거님의 원두를 사용하여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원두의 이름은 그루비 블랜드.

따뜻한 겨울 날.

따뜻한 우유 거품이 매력적인 카푸치노.

반응형
반응형

역촌역 카페, 불광역 카페, 커넥츠커피 에스프레소바, 서울 에스프레소바.

커넥츠커피 에스프레소바는 지하철 6호선 역촌역 3번 출구, 지하철 3, 6호선 불광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대로변에 위치해 있었고 민트색으로 꾸며진 외관으로 카페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습니다.

아직은 추운 날씨라 야외테이블을 이용하는 손님들은 없었습니다.

카페로 들어서면 제일 먼저 무광 검정색의 라마르조꼬 에스프레소 머신이 눈에 띄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 위 워머에 깔끔하게 정리되어진 커넥츠커피의 에스프레소 잔들.

커피를 주문하고 완료되면 메뉴를 불러주셔서 셀프로 받아가는 방식이였습니다.

커피나 디저트를 위한 도구들과 위쪽에 노란 조명으로 빛나는 빈티지한 시계들로 장식되어진 장을 볼 수 있었습니다.

커피와 함께 곁들여 먹을 수 있는 간단한 디저트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소금빵은 3,000원 // 트위스트 스틱은 3개당 2,000원.

커넥츠커피는 이곳 뿐만 아니라 합정역과 망원역에 로스터리 카페로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직접 로스팅을 싱글 또는 블랜딩하여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원두 외에 간단하게 마실 수 있는 필터커피 (핸드드립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드립백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카페 내부의 모습들.

커다란 유리창으로 은평구 녹번동의 거리를 볼 수 있었습니다.

높은 테이블과 높은 의자. 에스프레소바라고 소개되어있지만 서서 마실 수 있는 바의 자리가 아닌

일반적인 카페의 형태의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벽을 감싸고 있는 곳엔 각종 빈티지한 소품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오래된 전화기, 오디오, 타자기.. 근현대 역사박물관에서 볼법한 제품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는 곳에도 메뉴판이 있지만 각각의 테이블 마다 따로 메뉴판이 놓여져 있어 원하는 메뉴를 자리에서 편히 볼 수도 있었습니다.

녹번동 카페, 역촌역 카페, 불광역 카페, 커넥츠커피 에스프레소바의 메뉴판.

조만간 가격인상이 있다고 하니 메뉴정도만 확인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페스카.

에스프레소와 복숭아, 크림이 잘 어우러진 메뉴였습니다.

기본 에스프레소를 마시기에도,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한 다양한 메뉴를 접해보기에도 좋았던

커넥츠커피 에스프레소바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