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수역 카페, 성수동 카페, 로스터리 카페 크라비 입니다.

카페 크라비는 지하철 2호선 성수역 2번 출구로 나와 KT성수 근처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입구의 좌측은 앉아서 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공간과 로스터리 룸이 있었고 우측에는 커피를 주문하고 만들어지고 다양한

원두와 생두가 판매하는 곳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원두로 내려지고 있는 배치브루 커피들.

많은 종류의 생두와 원두들이 온라인, 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성수역 카페 크라비.

오프라인에서 주문으로 직접 방문하여 구매시 각 원두의 정보가 담겨진 화일이 보기 좋게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판매되고 있는 원두와 드립백, 생두들.

다양한 원산지와 농장들에서 온 제품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성수동 카페 크라비의 메뉴판.

블랙커피 (배치브루)가 1,800원으로 정말 저렴하게 판매가 되고 있었고

아메리카노 역시 2,800원으로 착한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오늘의 스페셜티 커피도 주문하는 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에티오피아 코케허니가 3,500원 // 콜롬비아 게이샤가 5,000원으로 스페셜티 커피들도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성수역 카페 크라비의 로스팅 하는 공간.

온라인으로 원두를 주문하다 오프라인으로 주문 후 직접 찾아가 로스팅된 원두를 받을겸 방문했던

카페 크라비입니다.

온라인으로 생두나 원두를 주문할때에는 '커피를 만드는 사람들'

이곳을 참조하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성신여대 카페, 성신여대입구역 카페, 덴셉트입니다ㅣ.

덴셉트는 지하철 4호선, 우이신설역 성신여대입구역에서 1번 출구로 나와 길음역 방향으로 걷다 보면 찾을 수 있는 카페입니다.

카페는 예전 고바우 컴퓨터 크리닝 세탁이라는 세탁소의 외관을 출입구를 제외하곤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요즘 카페를 찾거나 맛집의 식당을 찾을때 간판을 보고 찾지 않고 sns와 어플의 지도를 활용하여 방문하는 분들이 많아

외관을 과거 상가 모습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곳들을 종종 보게됩니다.

카페 입구 바로 옆에 위치한 로스터기.

성신여대입구역의 로스터리 카페로 로스터기가 한자리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따로 분리가 되어있는 공간은 아니라 로스팅시 심하진 않지만 냄새가 차는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성신여대 카페, 덴셉트는 로스터리 카페 답게 구비해놓은 원두를 로스팅하여 판매도 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각기 다른 원두들을 놓아두어 커피의 볶음도나 시향을 확인해볼 수 있었습니다.

꽃병에는 생화가 아닌 레고로 만들어진 꽃들로 무채색 공간인 덴셉트에 색을 더해주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CIME.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도 놓여 있었습니다.

물은 셀프.

처음 레고로 만들어진 꽃들을 봤는데 의외로 퀄리티가 정말 좋았습니다.

카페의 내부의 모습 중 한곳.

이곳과 창가쪽의 자리 조금이 성신여대 카페 덴셉트의 좌석이 전부였습니다.

좌석이 많거나 넓진 않았고 그 외의 자리들은 커피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가 2,000원

아메리카노가 3,000원으로 오름차순으로 다른 메뉴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가격대는 전반적으로 저렴한 편이였습니다.

원두 판매와 더불어 드립백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메뉴판.

성신여대입구역 카페, 성신여대 카페, 옛 세탁소 간판이 인상적이였던

덴셉트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연희동 카페, 연남동 카페, 홍대입구역 카페

컬러드 빈 COLOURED BEAN 입니다.

연희동의 개성있는 건축디자인 안에 자리 잡은 카페로

1층과 2층을 컬러드빈에서 카페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카페 입구 앞쪽에 위치한 야외 테이블.

겨울을 제외한 봄,여름,가을에는 이곳 자리도 인기 있는 자리라 들었습니다.

1층의 전반적인 모습.

커피 관련된 메뉴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

그리고 바 자리로써의 역활도 하고 있었습니다.

컬러드 빈에서 커피 메뉴를 위한 추출 도구들.

각각의 블랜딩된 원두들을 취향에 맞춰 고를 수 있었고 그 개성을 잘 살릴 수 있게 세팅되어져 있는 그라인더들이 따로따로

원두들을 담고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s도 한자리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1층과 2층을 모두 합쳐도 넓은 카페는 아니지만 커피를 위한 갖출건 다 갖춰진 곳이였습니다.

스트링홀드의 로스팅도 구비되어 있는 로스터리 카페.

2층으로 올라가는 길.

공간 자체가 좁은 편이라 겨울 외투를 위한 옷 걸이도 계단 앞에 준비되어있었습니다.

2층의 전반적인 모습.

카페가 정말 인기가 많은 곳이라 디테일하게 찍지는 못했지만 2가지 스타일의 테이블이 2층의 자리를 채워주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층고가 정말 높았고 그 개성을 살려 길쭉한 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이 정말 좋았습니다.

연희동 카페, 연남동 카페, 컬러드 빈은 로스터리 카페 답게 원두 또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싱글 오리진과 컬러드 빈에서 블린딩한 원두들.

가격은 싱글이 28,000원대로 . 블린댕이 20,000원 정도의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컬러드 빈의 메뉴판.

에스프레소가 4,000원대, 롱블랙(아메리카노)가 5,000원대로 오름차순으로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홍대입구역 카페, 혹은 홍대 카페라고 하기엔 걸어서 방문하기에는 조금 거리가 먼 곳이였지만

이곳에서 판매되고 있는 라떼, 카푸치노등 커피와 우유가 조합된 메뉴는 정말 맛있었습니다.

라떼 혹은 카푸치노를 좋아하신다면 추천드리는 카페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삼성역 카페, 코엑스몰 스타필드 카페, 스템커피입니다.

스템커피는 삼성역 근처에 위치한 코엑스몰 스타필드에 위치한 곳으로 메가박스 바로 옆에 위치한 카페였습니다.

카페에 들어서는 입구에는 유리 통로로 만들어져 있었고 식물들이 있어 답답한 지하 공간에 조금은 환기를 시켜주는 느낌을 주었습니다.

스템커피에서 음료를 고르고 계산하는 곳.

앞쪽에는 작은 베이커리, 혹은 디저트 종류의 음식이 있었습니다.

평일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있어 최대한 멀리서 몇장 담아 보았습니다.

코엑스 몰에서 꽤나 넓은 공간과 좌석이 있어 메가박스에서에 영화를 보거나 근처 아쿠아리움을 관람하고 오신 분들도 많이 보이는거 같았습니다.

구석 자리도 알차게 ..

커피 관련 용품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위쪽에 조금하게 스템커피라고 영어로 표기되어 있는 허스키 컵.

스템 커피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페셜티 원두도 200g에 13,000원에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물은 셀프.

삼성역 카페, 코엑스몰 스타필드 카페, 스템커피의 구석구석 둘러 보면 책이 꽂혀 있는 자리도,

사진을 위한 자리도, 온전히 커피를 위한 자리도 있어 취향껏 좌석을 찾아 앉아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DJ 장비들이 있던 곳.

정말 다양한 색깔의 공간들이 있었던 곳, 스템커피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