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디피 카페, 동대문역 카페, 카페 드 페소니아입니다.

카페 드 페소니아는 지하철 2,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지하철 1,4호선 동대문역에서 가까운 카페였습니다.

카페의 중앙은 커피와 디저트를 만들고 판매하는 곳으로 되어 있고 그 외의 공간들은 손님들을 위한 자리로 되어 있었습니다.

카페의 규모는 단층으로 되어 있었고 정말 넓었습니다.

단체로 앉을 수 있는 긴 테이블이 있던 곳.

간격이 붙어 있었지만 테이블과 의자들이 많이 있어 서로 서로 띄어 앉으며 커피와 디저트를 마실 수 있었습니다.

문 앞쪽과는 또다른 느낌의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 있었던 곳.

동대문의 대로변 방향의 입구쪽은 무광의 검은색으로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 있는 반면

그 반대편은 좀 더 색과 개성이 있는 의자와 테이블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그리고 카페의 한쪽에는 어느 작가들의 작품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동대문역 카페, 디디피 카페, 카페 드 페르소나에서 사용되고 있는 카페 용품들.

에스프레소 추출은 라마르조꼬의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 브루잉)를 위한 추출 도구들.

금속으로된 드리퍼와 케멕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생산지별 블랜딩별로 나눠놓은 원두들.

이곳 카페는 모든게 오픈된 공간으로 음료를 만들거나 빵을 만들때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었습니다.

간단히 배를 채울 수 있는 각종 디저트들.

로스팅 카페는 아니였지만 원두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디디피 카페, 카페 드 페르소나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4,000원 // 아메리카노 4,5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를 가지고 있었고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는 6,500원대부터 시작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led 빛으로 빛나고 있는 장미 꽃.

반응형
반응형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샘쉿 커피입니다.

샘쉿 커피는 지하철 6호선 상수역 2번출구로 나와 홍대 방면으로 걷다보면 찾을 수 있는 카페였습니다.

홍대 방면의 구석진 골목길에 위치해 있으니 첫 방문이시라면 지도어플을 활용하여 찾아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카페는 전반적으로 창가쪽 자리를 제외하면 어두운 편입니다.

차분한 느낌을 강조한 카페인듯 싶었습니다.

창가쪽은 6명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로 창은 통유리로 되어 있어 밝은 편이였습니다.

카페의 안쪽 자리 모습.

테이블마다 테이블 중앙을 비춰주는 조명이 하나씩 있습니다.

카페의 분위기 만큼 손님들의 대화소리들도 작은 편이였습니다.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샘쉿 커피.

이곳 카페의 인테리어 포인트 중 하나인 세로로 연결된 조명.

그리고 카페 가운데에는 가로로 3단으로 되어진 2개의 선반이 놓여 있었습니다.

선반 안에는 작은 무언가가 있었습니다.

아마도 카페 샘쉿의 상징적인 무엇인가인듯 싶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 브루잉)에 사용되는 도구들 역시 카페의 분위기에 맞게 무광 검정색으로된 드리퍼와 저울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브루잉을 위한 공간에는 원두들과 펠로우 오드 그라인더등 필터커피를 위한 장비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샘쉿 커피의 디저트들.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샘쉿 커피의 메뉴판입니다.

아메리카노가 4,0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뚝섬유원지역 카페, 건대 카페, 커피농장의 하루입니다.

보통 카페에 관련된 글을 올릴때 외관을 첫번째 대표 사진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커피농장의 하루는 일반 상가 건물 2층에

대표할만한 간판이 업고 입구에 있는 작은 입간판 정도가 전부라 그걸 촬영하여 올려놓았습니다.

카페 커피농장의 하루는 지하철 7호선 뚝섬유원지역 4번출구로 나와 신앙중학교 뒤편에 위치해 있는 곳이였습니다.

카페는 상가 건물 2층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바의 형태를 한 커피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장소.

독특하게도 주전자에는 물이 아닌 웰컴 커피라는게 있어 셀프로 마실 수 있었습니다.

손님들이 앉아 커피나 디저트를 멀을 수 있는 공간은 위의 바 지라와 벽족의 2인 테이블석.

카페의 대부분의 공간이 커피를 만들어 내는 곳에 더 비중은 둔 카페인듯 싶었습니다.

생두가 쌓여 있던 선반.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하는 음료들이 만들어지는 곳으로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코르테 XT를 사용하였고

원두에 따라 분리되어 있는 다양한 그라더가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공간.

말코닉의 ek43s와 브뤼스타, 하리오 드리퍼등을 사용하는듯 했습니다.

그리고 안쪽에는 오븐도 있어 맛있게 구워진 크로와상들이 열기를 식히고 있었습니다.

찬장에는 종류별로 나눠진 원두들이 보였고 열기가 식은 크로와상들은 비닐 덮개가 씌워져 있었습니다.

건대 카페, 뚝섬유원지역 카페, 커피농장의 하루에서 판매되고 있는 드립백과 초코쿠키.

드립백은 개당 1,000원 ~ 1,500원 사이로 원두별 가격차이가 두고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어느 작가의 커피 농장의 하루에 관한 삽화과 글.

카페에 대한 애정이 보이는 글과 그림들이였습니다.

카페의 안쪽으로 분리되어 있었던 로스팅룸.

이지스터 로스터기가 용량별로 놓여 있었습니다.

카페 커피 농장의 하루의 메뉴판.

아메리카노가 3,800원으로 판매되고 있었고 초코쿠키는 2,000원 햄&치즈 크로스트는 5,000원으로 디저트들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동네 친화적인 카페인듯한 자양동 주민분들은 할인이 있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대흥역 카페, 서강대 카페, 로스터리 카페 트래머입니다.

카페 트래머는 지하철 6호선 대흥역, 서강대학교 앞 경의선 공원 길 옆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입구 정면에서 보이는 모습.

경의선 공원길 바로 옆에 위치한 건물의 반지하에 위치해 있었던 카페 트래머는 자연광이 잘 들어오는 곳은 아니지만

공간이 주는 포근함이 좋았던 곳이였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원두도 종류별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단체로 앉기엔 좋았지만 모르는 사람끼리 앉기엔 애매한 가구 배치 공간.

화장실로 가는 통로.

대흥역 카페, 서강대 카페, 트래머는 위쪽 사진의 단체석 같은 곳, 안쪽의 자리, 그리고 들어오는 입구, 이렇게 3곳으로 나눠진 곳에

테이블이 놓여 있어 공간 분리가 되어 있었습니다.

주문 하는 곳.

하얀색 배경에 하얀색 집기류들이 놓여 있던 곳이였습니다.

로스터기는 스트롱 홀드의 S7X.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코르테 XT와 에스프레소용 그라인더는 안핌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가장 끝 자리에는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공간으로

말코닉의 ek43s와 브리스타 드립포트등이 위치해 있었습니다.

드립을 하시는 모습.

왼쪽엔 아메리카노, 오른쪽엔 필터커피( 드립커피)

필터커피의 경우 잔은 빈잔으로 커핑노트를 아래 까라주셨고 서버에 있는 커피를 직접 따라 마시게끔 되어 있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