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라매역 카페, 보라매공원 카페, 랜드폴커피.

랜드폴 커피는 지하철 7호선 보라매역이나 신림선 보라매공원역 사이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카페의 입구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할 수 있는 곳.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말코닉의 ek43과 브뤼스타x 드립포트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꼬르테 XT와 안핌 그라인더.

디저트를 위한 오븐도 한쪽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함께 먹기 좋은 디저트들은 유리 진열대 안에 깔끔하게 놓여져 있었습니다.

1층의 자리들.

2인석, 4인석과 함께 창가에는 바 형식으로 되어진 높은 자리의 테이블과 의자들이 있었습니다.

달라꼬르테 XT의 나무 상자는 화분이 꽃과 작은 나무의 화분들이 올려져 있었습니다.

보라매역 카페, 보라매공원 카페, 랜드폴커피는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총 2개의 공간이 있었습니다.

지하 공간의 자리 배치들.

심플하기도, 심심하기도한 일반적이 카페의 모습.

지하에 위치한 이지스터 로스터기도 볼 수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추출하는 바리스타님의 모습.

커피 추출하는 도구들은 무광 검정색으로 통일되어 깔끔한 공간으로써 느껴졌습니다.

랜드폴커피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3,700원

아메리카노 4,200원 수준으로 가격대가 형성되어져 있었습니다.

시그니처 메뉴 중 하나인 에스프레소 발로리 4,700원.

에스프레소 위에 티라미수 크림이 더해진 음료였습니다.

메뉴를 주문하면 바리스타님이 직접 음료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마시는 법까지 알려주셨습니다.

이곳에서 직접 만들었다는 입가심용 자일리톨 설탕.

한때 SNS의 유행이였던 에스프레소 잔 쌓기.

반응형
반응형

합정역 카페, 홍대입구역 카페, 서교동 카페, 아이덴티티커피랩.

카페 아이덴티티 커피랩은 지하철 2호선, 6호선 합정역과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사이, 서교동에 위치한 카페입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아이덴티티 커피랩에 관한 영어글귀가 있는 은색 판을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시작으로 아이덴티티가 추구하고자 하는 바와 이곳에서의 좋은 경험을 주고자 한다.. 라고 적힌듯 싶었습니다.

영어 버전이 있으면 한국 버전도 있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카페의 메인이 되는 주문하는 곳.

4명이 앉을 수 있는 바 자리도 마련되어 있어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내리는 모습을 보거나 바리스타와의 스몰 토크를 원하신다면

바 자리에 앉는걸 추천드립니다.

커다란 창을 따라 배열되어있는 2인석의 자리들.

카페의 가운데는 4인석으로 꽤 넓은 테이블과 의자도 놓여져 있었습니다.

홍대카페, 서교동 카페, 합정역 카페, 아이덴티티커피랩에서 에스프레소를 위한 장비 세팅 기계들.

3그룹의 에스프레소 머신과 각기 다른 원두와 분쇄도로 세팅되어진 그라인더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브루잉을 위한 커피는 바 자리 바로 옆에 있었고

그라인더는 말코닉의 ek43s, 브뤼스타 드립포트, 하리오 v60을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원두의 경우 품절이라 볼 수 없었고

드립백만이 한쪽에 전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작은 디저트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추출하시는 모습.

아이덴티티 커피랩의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 기준 4,000원으로 취향에 맞게 키치 블랜딩, 미드 센츄리 블랜딩 원두 중 하나를 고를 수 있었습니다.

선불 충전카드.

5만원 미만 충전 시 5% 추가 충전, 5만원 이상 충전 시 10% 추가 충전의 특전이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4,000원

아이스 아메리카노 4,000원.

커피 맛집으로 잘 알려진 아이덴티티커피랩이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선유도공원, 인물사진, 야외촬영, 스냅사진, 한강공원.

합정역과 당산역 사이, 양화대교 중앙에 위치한 선유도공원에서의 인물 스냅 촬영사진입니다.

길고 길었던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을 맞이하는 늦더위와 함께 야외촬영을 진행해보았습니다.

한강공원 중 하나인 선유도 공원을 산책을 하며 한장 한장 담아보았습니다.

공원 가운데에 있던 그늘을 만들어 주던 파라솔.

선유도공원은 과거 하수처리장으로써의 역활을 하던 곳으로

그당시 사용했던 용품들을 재활용하여 공원이 조성되어져 있었습니다.

놀이터 또한 커다란 하수관을 이용하여 독특한 구조로 만들어져있었습니다.

공원을 걷다 보면 만나게되는 짧지만 임팩트 있는

대나무숲길.

반응형
반응형

양평 카페, 아신역 카페, 옥천리 카페, 이스트.

카페 이스트는 양평 옥천리에 위치한 카페로, 지하철역 경의중앙선 아신역 근처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보통은 대중교통으로 오시는 손님들 보단 양평으로 드라이브를 오거나 자전거 도로를 이용하여 오시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냉장 보관되어진 디저트들과 커피를 주문할 수 있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은 라마르조꼬를 사용하였고 그라인더는 메저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보라색으로 랩핑된 에스프레소 머신이 하얀 바탕의 카페 내부에서 포인트로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기 좋은 작은 디저트들.

창가로 내려 오는 빛이 너무나도 좋았던 실내의 모습들.

모던하고 심플한 느낌의 카페의 내부모습으로 인테리어되어져 있었고

빈 공간은 액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카페의 메뉴 중 하나인 테라리움 체험.

작은 소품들도 예쁘게 전시,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카페의 외부는 캠핑장의 느낌으로 야외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카페의 외부에 마련된 독립된 작은 공간.

소규모의 단체 손님들이 자리해서 외부에서만 살짝 촬영해보았습니다.

양평 카페, 아신역 카페, 이스트 EST. 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기준 5,0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겨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패션 후르츠 에이드 7,000원

딸기 라떼 7,000원.

반응형
반응형

2023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열린송현 녹지광장에 다녀왔습니다.

열린송현 녹지광장은 지하철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하늘소라고 하는 설치작품.

철골 구도와 파이프등을 연결하여 만든 작품입니다.

올라와서 보면 열린송현과 종로 일대를 시원한 시야로 볼 수 있었습니다.

2023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의 작품들도 높은 시야에서 한눈에 볼 수 있었습니다.

하얀천들이 만들어주는 그늘막.

앉아서 잠시 시야를 감상하며 시간을 보내기 좋았습니다.

열린송현 녹지광장과 종로의 높은 건물들과의 오묘하게 어울리는 작품들.

커다란 작품 외에도 곳곳에 독특한 설치 에술 작품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한칸 한칸 걸어갈때 마다 들려오는 각기 다른 소리들.

여러 작품들을 보기에도,

높은 곳에서 종로 일대를 보기에도 좋았던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가 열리고 있는 열린송현 녹지광장이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