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로스터리 카페 블로트 커피입니다.

블로트 커피는 지하철 6호선 상수역 1번 출구에서 5분 정도 걷다 보면 찾을 수 있는 곳입니다.

대로변 안쪽에 위치해 있으니 지도 어플을 활용하심을 추천드립니다.

카페 입구에서 본 정면의 모습.

하얀색 벽의 바탕과 검은색의 바와 테이블등으로 포인트를 준 블랙 & 화이트의 인테리어가 포인트였던 곳이였습니다.

로스팅된 원두들은 이곳에서만 소비를 하는게 아니라 다른 곳으로 많이 납품을 하시는듯

카페 안쪽에 엄청난 택배 박스가 놓여 있었습니다.

음료가 만들어 지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과 커피의 맛에 따라 구분되어 있는 2개의 커피 그라인더.

그리고 안쪽에는 필터 커피를 위한 브루잉바로 ek43과 함께 드립포트등이 놓여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 추출시 사용되고 있는건 메탈 소재의 하리오 드리퍼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블로트 커피의 안쪽에 보이는 로스터기.

카페의 규모를 생각한다면 꽤나 대형 로스터기가 안쪽에 자리해 있었습니다.

라마르조꼬 에스프레소 머신을 활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으신 바리스타님.

필터커피(핸드드립커피) 내리는 모습을 영상으로 담아보았습니다.

블로트 커피에 판매되고 있는 디저트들.

디저트도 이곳에서 직접 만들고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카페 내부의 모습.

곳곳에 화분들이 놓여 있었고

벽면에는 여행 사진들이 걸려 있었습니다.

반대쪽은 벽돌이 그대로 보이는 인테리어로 되어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 답게 직접 로스팅된 원두를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200g당 12,000원으로 오름차순으로 원두마다 가격은 달랐습니다.

입구쪽에 위치한 잡지들.

과거엔 카페에서 잡지나 책들이 많았고 그걸 보는 손님들 또한 꽤나 있었지만

지금은 모두 스마트 폰으로 그것들이 대체가 되어 지금은 빛이 바래져 있었고 인테리어적 요로소 자리가 잡혀 있었습니다.

상수역 카페, 홍대 카페, 로스터리 카페 블로트의 메뉴판.

가격대는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가 4,000원이였습니다.

 

아이스로 내려진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

따뜻한 라떼.

반응형
반응형

안국역 카페, 삼청동 카페, 한옥 카페

올모스트 홈 아트선재 센터점입니다.

카페 올모스트 홈은 지하철 3호선 1번 출구에서 정독 도서관, 아트 선재 센터점 근처에 있는 한옥 카페입니다.

 

카페 입구로 들어 가는 길.

항아리로 만든 화분과 대나무들이 카페를 가운데로 양쪽 옆에 둘러쳐 있었습니다.

삼청동 카페, 안국역 카페, 한옥 카페 올모스트 홈의 입구.

카페의 규모는 크지 않은 한옥 건물로 되어 있었습니다.

카페 올모스트 홈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전부리들 (디저트).

카페의 우측에는 작은 테이블, 작은 의자들이 놓여 있었고 문 너머로 들어 오는 햇살과 대나무 숲길이 보이는 뷰가 좋았습니다.

카페의 우측에는 올모스트 홈에서 판매되고 있는 각종 굿즈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화분 세트.

카페의 중앙 부분에도 이런저런 아이템들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소품들은 한국적인 요소가 강한 제품들도 많아 꽤 눈길을 끌었습니다.

카페의 자리보단 올모스트 홈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이템들이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아마도 삼청동, 안국역 카페, 올모스 홈 아트선재센터점에서 가장 메인이 되는 자리가 아닐까 싶은 긴 테이블과 넓은 창이 있던 곳.

따뜻한 색의 조명과 자연광이 잘 어울러져 있던,그리고 밝은 갈색의 나무들로 인테리어되어 있던 곳으로

편안함을 주는 공간이지 않나 싶었습니다.

 

올모스트 홈 아트 선재 센터점은 실내 자리도, 야외자리도 편안함을 주는 곳이였습니다.

대나무 사이로 불어 보는 바람, 그리고 그 바람 소리를 듣고 있자면 서울의 빡빡함을 잠시 잊을 수 있었습니다.

카페에서 찍어본 짧은 동영상.

안국역 카페, 삼청동 카페, 한옥 카페 올모스트 홈 아트선재점의 메뉴판.

아메리카노 4,0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로 형성되어 있었고 주전부리 (디저트)와 함께 판매되고 있는 세트 메뉴도 있었습니다.

아메리카노 4,000원

개인 텀블러 이용시 500원 할인.

잠시 카페에서 여유를 부리고 미술관으로 넘어가야해서 텀블러를 활용하여 음료를 담아왔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연남동 카페, 홍대 카페, 로스터리 카페 언더독 커피입니다.

언더독 커피는 지하철 2호선 홍대 입구역 1번출구로 나와 홍익 디자인 고등학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정확히는 성산동 카페로써 성산동의 한적한 골목길에 위치해 있어 지도 어플을 참고하여 찾아가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로스터리 카페 언더독 커피의 작은 간판.

카페의 내부의 모습입니다.

옛 상가 건물 내부에 커피를 위한 집기류들과 테이블, 의자, 그리고 소파등 인테리어적으로는 참 뭐가 없었던 곳이였습니다.

실내에 앉을 수 있는 자리들은 5개의 테이블 정도로 서로간의 간격이 꽤 넓은 편이였습니다.

구석의 1인용 소파 자리.

커피향을 맞으며 혼자 시간 보내기 썩 괜찮아 보이는 자리인듯했습니다.

작은 책장에는 씨디들이 꽂쳐 있었습니다.

입구 바로 앞 창가자리는 캠핑용 의자와 빈티지한 상자를 테이블로써 활용된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연남동 카페, 홍대 카페, 언더독 커피의 가장 안쪽 자리에 위치한 로스터기와 생두들.

카페의 규모면에선 크진 않지만 이곳 카페에선 직접 로스팅된 원두를 활용하여 커피 음료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로스터리 카페답게 원두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해당화라는 이름의 블랜딩된 원두.

언더독 커피의 소리를 채워주는 진공관 엠프와 스피커.

에스프레소 머신은 훼마 e61 을 통해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언더독 커피의 메뉴판.

모든 메뉴가 일괄 4,000원으로 가격이 동일 했습니다.

원두의 경우 100g에 7,000원에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홍대와 연남동사이, 성산동에 위치한 로스터리 카페 언더독 커피.

조용한 수다, 혹은 작업을 위한 공간으로써 좋았던 곳이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노량진 카페, 대방역 카페, 단골 커피 로스터스입니다.

카페 단골 커피는 노량진역과 대방역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직접 원두를 로스팅하는 로스터리 카페였습니다.

카페에서 사용되고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원두별로 나눠 그라인딩 되고 있는 그라인더들.

여름에는 상큼한 시즌 메뉴도 판매되고 있었고 생과일을 착즙하는 기구들도 보였습니다.

카페 입구 바로 앞에 놓인 로스터리 기기.

노량진역 카페, 대방역 카페, 단골커피의 테이블과 의자들.

3~4팀 정도 앉을 수 있는 테이블과 의자가 놓은 공간 자체는 넓지 않은 곳이였습니다.

단골 커피에서 판매되고 있는 에코백과 원두들이 한쪽 벽면에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단골커피 로스터스에서 판매되고 있는 원두 패키지.

한국스러움이 강조된 패키지 디자인이 꽤나 인상적이였습니다.

노량진 카페, 대방역 카페, 단골 커피의 메뉴판.

가장 저렴한 음료로 아메리카노가 2,000원이였고

에스프레소와 스페셜티 블랜딩된 아메리카노는 2,500원으로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커피와 인생은 셀프다.

스페셜티 블랜딩 아메리카노 2,500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