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대방역 카페, 신림 카페, 언사이드커피로스터스입니다.

언사이드 커피 로스터스는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 근처에 있는 신림 카페, 로스터리 카페입니다.

카페의 내부모습은 하얀바탕으로 하얀색과 밝은 나무색으로 전체적인 인테리어로 깔끔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였습니다.

기둥을 제외하곤 통유리로 개방감을 주웠습니다.

1인 손님들이 주로 앉아서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기 좋은 바 형식의 자리들.

잘 정돈되어 있지만 누군가에겐 딱딱함으로 다가올 수도 있겠지만 그 빈 공간에는 녹색잎이 있는 화분을 둬서

공간을 환기시키고 있었습니다.

벽쪽으로 붙은 곳에만 콘센트가 있는게 아니라 카페의 중앙 자리에도 멀티탭이 있어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충전에도 용이했습니다.

커피를 주문하고 받는 곳.

커피를 주문하는 곳 옆에는 로스터리를 위한 공간도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한잔.

신대방역 카페, 신림 카페, 로스터리 카페로써 공간도 넓고 깔끔한 언사이드 커피 로스터스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경복궁역 카페, 안국역 카페, 테라로사 국립현대미술관서울점입니다.

테라로사 국립현대미술관서울점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 위치해 있으며 대중교통으로는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과 안국역에서

도보로 갈 수 있는 곳이였습니다.

 

테라로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점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 전시 관람을 보고 나와 그 여운을 느끼며 커피 한잔하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전반적인 카페의 모습입니다.

다양한 테이블과 의자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단체 손님을 위한 자리와 혼자 온 사람들을 위한 자리 모두 원하는 자리에 앉아 쉼과 함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곳이였습니다.

그리고 자칫 딱딱해보이는 전체적인 카페 분위기가 되는걸 막기 위해 곳곳에 화분이 놓여 있어 분위기를 전환시켜주었습니다.

카페의 음료와 디저트들이 주문되고 판매되는 곳.

보통의 경우 벽쪽에 붙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이곳 카페는 앞면 뒷면 모두 손님들이 앉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오픈된 곳으로

위생에 관련된건 문제될일이 없어보였습니다.

테라로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원두들.

판매되고 있는 원두는 작은 병에 그라인딩되어 있어서 구매 전 시향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원두뿐만 아니라 차 (tea) 종류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테라로사의 제품뿐만 아니라 커피나 차에 관련된 용품들도 판매되고 있어 음료를 주문하고 남는 시간에 둘러보며 쇼핑을 하기에도 좋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서울역 카페, 후암동 카페, 엘카페 커피 로스터스입니다.

엘카페 커피 로스터스는 서울역 인근, 후암동에 위치한 곳으로 스페셜티와 같은 맛과 향이 좋은 퀄리티 높은 커피를

판매하는 카페였습니다.

엘카페 로스터스의 커피 주문과 에스프레소가 만들어지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은 매립형으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만들어진 커피를 앉아서 마실 수 있는 의자와 테이블들.

일반적인 카페처럼 테이블 간에 거리를 뒀다기 보단 넓은 테이블을 이어 바의 형식으로 만들어진 곳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를 위한 공간.

매립형으로 되어 있는 에스프레소 머신과 오토 탬퍼등 테이블 위쪽은 최소한의 장비만이 놓여 있었습니다.

필터 커피 (핸드드립커피)의 경우 자동으로 내려주는 푸어스테디라는 제품이 만들어 주고 있었습니다.

직접 손으로 내려 손맛을 추구 하기 보단 정확한 레시피로 세팅되어진 기계로 내려주는 걸 선호하는 곳들도 늘어나는

추세인거 같았습니다.

커피의 종류에 따라, 추출되는 형식에 따라 달리 사용되고 있는 그라인더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서울역 카페, 후암동 카페, 엘카페 커피 로스터스에서 판매되고 원두와 캡슐 커피, 그리고 각종 커피 추출을 위한 도구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작은 디저트들.

엘카페 커피 로스터스는 커피를 추출하고 마시는 곳과 더불어 원두를 위한 공간도 넓었습니다.

문이 열려 있어 살짝 볼 수 있었던 로스터기들, 그리고 방송 조명들.

엘카페 커피 로스터스의 메뉴판.

에스프레소와 아메리카노가 5,000원으로 시작되는 가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취향에 맞게 3가지의 원두를 골라 마실 수 있었습니다.

이탈리안 잡 블랜드로 내려진 에스프레소.

반응형
반응형

신도림역 카페, 문래역 카페, 러스트 베이커리입니다.

러스트베이커리는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과 문래역 사이에 위치한 곳으로 문래 공업단지에 위치해 있는 카페입니다.

러스트베이커리에 들어서는 입구에 붙은 이런 저런 홍보 전단지들.

문래역은 공업단지지만 낮은 임대료로 인해 예술가들이나 공방을 운영하시는 분들이 대거 유입이 되어

다양한 활동을 하는 곳으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러스트 베이커리의 바.

커피나 베이커리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에스프레소 머신과 원두의 맛에 따라 달리 세팅되어 있는 그라인더가 커피 추출을 위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러스트 베이커리의 가장 유명한 공간이라 할 수 있는 빵이 진열되어 있는 곳.

창가로 내려 오는 빛과 함께 독특한 모양의 진열장이 눈에 띄고 많은 분들이 사진을 남기는 곳이였습니다.

이 곳 안에는 정말 다양한 빵과 디저트들이 놓여 있었습니다.

냉장 보관된 푸딩이나 케이크들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1층의 다양한 자리들.

서로 다른 개성으로 놓여 있었던 테이블과 의자들.

1층과 2층을 연결시켜주는 계단.

이곳 역시 처음부터 카페로 지어진 곳은 아니라 층을 오르고 내릴때 좁은 폭으로 인해 조심하며 걸어야 했습니다.

2층의 모습.

밖은 공업단지로 조금은 삭막한 모습이지만 그 중심에 있는 러스트 베이크리의 모습은

여느 카페보다 따사롭고 포근한 느낌이였습니다.

5월의 오후 5시 30분.

길어진 낮시간과 창가로 내려오는 햇살.

그리고 같이 앉아 있는 사람과의 대화.

그걸 충족하기엔 정말 좋은 공간이였습니다.

몇몇 테이블과 의자들은 인스타 감성이 충만하여 조금은 불편함을 주기도 했습니다.

빈 공간은 빈티지함을 더 해주는 화분이나 소품들이 놓여 있어 인테리어적으로도 좋았습니다.

2층과 3층은 야외 테이블이 놓여 있었습니다.

아직은 덥지 않은.

그리고 적당히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는 5월의 퇴근 시간즈음..

문래역 카페, 신도림역 카페, 러스트 베이커리의 3층. 루프탑의 모습입니다.

러스트 베이커리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4,000원

아메리카노 4,500원을 기본으로 시작되는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

그리고 각설탕.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