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합정역 카페, 합정동 카페, 커넥츠 커피 합정점

커넥츠 커피 합정점은 지하철 2호선 6호선 합정역 7번출구로 나와 한강방면으로 걷다 보면 찾을 수 있는 곳입니다.

합정점 외에도 망원점과 역촌역과 불광역 사이에 위치한 곳의 에스프레소바, 이렇게 3개의 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페의 입구에서 본 내부의 모습.

좌측에는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받을 수 있는 곳과 바의 자리가, 그리고 가운데와 우측 벽으로 붙은 테이블과 의자들이 있었습니다.

입구 옆 창가 자리.

커넥츠커피는 로스팅을 직접하는 곳으로 이곳에서 로스팅된 원두들이 싱글 혹은 블랜딩되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원두 외에도 간편하게 내려 마실 수 있는 드립백도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주위 직장인 분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던 선불카드.

일정 금액 이상 충전을 하면 5% 추가 적립이 된다도 안내되고 있었습니다.

음료와 같이 먹을 수 있는 디저트들.

카페는 하얀색과 밝은 갈색의 나무색으로 인테리어되어있었습니다.

원두나 컵 외에 굿즈로 판매되고 있던 에코백.

음료나 디저트를 주문하고 만들어지는 곳.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꼬르떼 XT 2그룹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라인더는 에스프레소를 위한 안핌이나 메저가 있었고

필터커피를 위한 말코닉 ek43도 볼 수 있었습니다.

독특한 점은 바라짜의 그라인더도 두대가 놓여져 있었고 같이 호퍼에 원두가 가득 들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필터커피와 커넥츠커피.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의 경우 자동 드리퍼를 이용하여 추출되고 있었습니다.

달콤한 크림이 올라간 부드러운 밀크커피라는 음료로 안내되었던

이곳의 커넥츠커피의 시그니쳐 음료인 '커넥츠커피'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 수원, 화성 행궁동의

골목길에도 장미꽃들이 예쁘게 피어 있어 카메라를 들고 다녀왔습니다.

일단 시작은 통칭 수원 화성의 행궁동이라 불리는 시작점을 알리는

장안문을 담아보았습니다.

서울의 남대문이나 동대문같이 대로변의 한쪽에 자리 잡고 있었고

동대문과 남대문과는 다르게 성곽이 그대로 남아 있어 산책로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장안문 근처에 위치한 수원 전통 문화회관.

한옥으로 건축된 곳에서 각종 행사나 전시회가 열리는 곳이였습니다.

물론 처마 밑에 앉아 잠시 쉬었다가기에도, 한옥을 배경으로 사진을 담아보기에도 좋은 곳이였습니다.

지번의 주소로는 장안동이나 신풍동등의 주소가 있지만 통칭 행궁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곳으로 된듯했습니다.

높지 않는 주택건물들이 예쁜 공방이나 카페로 바뀌었고

평일임에도 많은 분들이 찾는 데이트 명소가 되었습니다.

사진은 과거 웹툰을 드라마화 했던 경이로운 소문의 국수집이였던 곳과 함께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김밥집의 배경이되었던 곳도 행궁동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신축 건물들도, 구축 건물들도

맛집, 카페, 공방등 골목골목 마다 걸으며 데이트 하기 좋은 곳이였습니다.

장미 공원으로 구성되어진 곳은 아니지만 단독주택들과 빨간 벽돌이 있던 곳에도

장미꽃들이 많이 피어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붉은색의 장미가 가장 많이 낮은 주택들의 담벼락에 피어있었습니다.

옛 향수가 느껴지는 동네의 골목길을 산책하며 곳곳에 피어난 장미와 함께 사진을 한장 한장 담아보는건 어떨까요?

반응형
반응형

행궁동 카페, 수원 화성 카페, 에스프레소 바, 프랭크 커핀바 수원점.

프랭크 커핀바 수원점은 수원 화성에 위치한 곳으로 흔히들 행궁동 카페로써 검색을 하여 찾아가는 곳이였습니다.

카페는 2층에 위치해 있었고 2층으로 올라가 입구 앞쪽에는 포토스팟이 존재하여 카페를 들어 서기 전 후에

한장씩 사진을 남기시는 손님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일부러 이곳을 찾은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인 실내에 위치한 분수대.

3단으로 되어진 분수대에는 녹색 줄기 식물과 더불어

가장 아래쪽엔 꽃들이 물에 놓여 있어 인테리어적 분위기가 정말 좋았습니다.

행궁동 카페, 수원 화성 카페, 에스프레소 바, 프랭크 커핀바의 실내 모습입니다.

전체적으로 나무로 되어진 바닥과 테이블, 의자들이 놓여져 있었습니다.

카페의 빈 공간, 그리고 테이블 위에도 작은 화분들이 있어

짙은 갈색의 나무와 녹색의 식물이 잘 섞여 차분한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프랭크 커핀바의 글자가 적힌 벽돌로 만들어진 벽과 등나무 꽃의 잘 어울릴거 같지 않는 곳에서도

조명을 이용하여 포토스팟으로 활용되고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잔과 작은 유리잔, 이런저런 프랭크 커핀바의 굿즈들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메뉴를 주문하는 곳.

Order Here.

왼쪽의 유리 보관함에는 디저트가 보관되어져 있었고

와플이 정말 많이 판매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사이즈에 맞게 잘 짜여진 가구와 커다란 스피커들.

크고 작은 것들이 딱 맞춰 만들어진 공간이였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달라꼬르떼 XT 2그룹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프랭크 커피 6,000원

에스프레소 2,500원.

반응형
반응형

용산공원, 용산부분개방지

용산공원은 지하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 근처에 위치한 과거 미군 장교들이 사용했던 곳을 공원으로

재구성되어진 곳입니다.

용산 가족공원과는 다른 곳이니 첫 방문이시라면 잘 확인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용산공원 입구에 들어서면 주차장이 넓게 형성되어있습니다.

아무나 주차가 가능한 곳은 아닌듯 싶었습니다.

차를 가지고 오신다면 이곳에 주차가 가능한 조건을 갖춰짐을 확인하시거나

다른 주차장에 차를 대놓고 오셔야 하는듯 했습니다.

본격적으로 용산공원 내부의 모습을 담아보았습니다.

용산공원은 공원이라는 이름이 불려지기 전, 미군 장교 숙소로 활용되는 곳인만큼

분위기가 한국과는 조금 다른 느낌의 공간이였습니다.

따뜻한 햇살, 그리고 불어오는 바람을 느끼며 흔들의자에 잠시 기대여 봅니다.

잘 정리된 타운하우스의 공간으로

같은 스타일의 2층 혹은 3층의 빌라로 붉은 벽돌의 여러 건축물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과거에는 숙소였지만 지금은 공원으로써 활용되는 만큼

곳곳에 나무와 식물, 꽃등으로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었습니다.

어린이들을 위한 야외 놀이터와 실내 놀이터도 있어

어린 아이를 동반하여 찾는 가족단위 관람객들도 볼 수 있었습니다.

 

누군가 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공원에 제한 속도를 나타내는 표지판은 인기 포토스팟으로 자리매김하여

줄 서서 사진을 남기는 분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부분개방지인만큼 아직 철조망으로 막혀진 공간.

반응형
반응형

망원역 카페, 합정역 카페, 메이크 베러 띵스 , 카페 MBT

메이크 베러 띵스 MBT 카페는 지하철 6호선 망원역과 2,6호선 합정역 사이에 위치한 곳입니다.

합정동의 조용한 골목길에 위치해 있지만 햇살이 정말 잘 들어 오는 따뜻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였습니다.

일반적인 1층보단 몇 계단 내려와야 하는 구조의 카페였습니다.

입구의 좌측은 손님들을 위한 테이블과 좌석이 있었고

우측에는 커피나 디저트들을 주문받고 만들어지는 곳으로 나눠져 있었습니다.

커피 추출 도구들은 무광 검정색으로 통일하여 묵직한 느낌으로 통일감을 주고 있었습니다.

필터커피 (핸드드립커피)를 위한 그라인더는 말코닉 ek43이 놓여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에스프레소 머신.

키스반더웨스턴 스피릿 3그룹을 사용하여 에스프레소를 추출하고 있었습니다.

망원역 카페, 합정역 카페, 메이크 베러 띵스 MBT 에서 판매되고 있는 디저트들.

음료와 같이 곁들여 먹기 좋은 디저트들이 쇼케이스나 냉장고 안에 진열되어 있었습니다.

카페 MBT.

메이크 베러 띵스의 메뉴판.

에스프레소 4,000원

아메리카노 4,500원

라떼 5,000원 수준의 가겨대를 형성하고 있었습니다.

베리띵스 (생딸기 셔벗 + 생딸리 라떼) 6,000원

반응형

+ Recent posts